해병대 수사 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해병특검이 확보한 윤석열 전 대통령의 휴대전화에 대한 디지털 포렌식 작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의 아이폰에는 얼굴 인식과 비밀번호가 동시에 설정돼 있어 접근이 사실상 차단된 상태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앞서 특검에 “비밀번호 제공 의사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23일 정민영 순직해병 특검팀 특검보는 브리핑에서 “(압수한 윤 전 대통령 휴대폰에) 얼굴인식과 비밀번호가 같이 걸려 있다”며 “지금 확인한 바로 비밀번호 제공 의사는 없다고 한 상태라 거기서 더 진행된 건 없다”고 전했다.
앞서 특검은 이달 11일 윤 전 대통령의 자택인 서울 서초동 아크로비스타를 압수수색하면서 그가 사용하던 것으로 보이는 아이폰 1대를 확보했다.
이후 특검은 아이폰 잠금 해제를 요청했지만, 윤 전 대통령 측은 이를 거부했다. 현재 이 휴대전화는 대검찰청에 포렌식 의뢰된 상태지만, 이중 잠금 때문에 실제 분석 작업에는 착수하지 못한 상황이다.
특검은 해당 아이폰이 ‘채 상병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의 실체를 밝힐 수 있는 핵심 물증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현재 특검은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을 포함한 복수의 관계자들로부터 ‘VIP 격노설’ 관련 진술을 확보한 상태다.
특히 김계환 전 해병대 사령관은 그간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에게 ‘VIP 격노설’을 전달했다는 의혹을 부인해 왔지만, 22일 구속영장실질심사에서 “대통령이 화가 났다는 얘기를 들었다”는 취지로 사실관계를 일부 인정했다.
이에 따라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의 통화 내역과 문자 메시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휴대전화가 핵심 증거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다만 이중 잠금 상태가 장기화될 경우, 디지털 증거 확보가 난항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이런 가운데 윤 전 대통령 측이 압수물 환부를 요청하고, 법원이 이를 인용하면 특검은 포렌식도 못 한 채 해당 기기를 반환해야 하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