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한 여성이 인공지능(AI)의 도움으로 1600만 원이 넘는 신용카드 빚을 갚은 사례가 전해졌다.
11일(현지시간) 미국 ABC네트워크의 인기 아침 프로그램 ‘굿모닝 아메리카’는 부동산 중개인이자 콘텐츠 크리에이터인 제니퍼 앨런의 사연을 소개했다. 앨런은 틱톡 영상 시리즈를 통해 ‘30일간의 챗GPT 챌린지’를 시작한 과정을 공개했다.
그녀는 “매일 챗GPT에게 신용카드 빚 2만 3000달러(한화 약 3173만 원)를 갚기 위해 어떤 돈 버는 일을 할 수 있을지 물어봤다”고 밝혔다.
결과는 놀라웠다. 한 달 동안 무려 1만 1000달러(한화 약 1517만 원)를 벌어 총 1만 2078달러(한화 약 1666만 원)의 빚을 갚은 것이다. 앨런은 “예전에는 빚 자체를 외면했지만 지금은 매일 그것과 마주하게 됐다”고 전했다.
챗GPT는 그녀에게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그중 하나는 전혀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그녀의 관심을 끌었다. 챗GPT는 총 빚 금액인 2만 3000달러를 수박에 유성펜으로 적은 뒤, 이를 ‘빚 예술(debt art)’이라 부르고 이베이 경매에 출품해보라고 제안했다. 이 틱톡 영상은 20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 실제로 그녀는 수박 사진을 찍어 51달러(한화 약 7만 원)에 판매했다.
훨씬 실질적인 조언도 있었다. 그녀는 챗GPT 조언에 따라 스마트폰 속 휴면 자산을 점검했고 모바일 송금 서비스 벤모(Venmo) 계정에서 100.8달러(한화 약 13만 원)를 발견했다. 남편의 말에 따라 확인한 증권 계좌에서는 무려 1만 200달러(한화 약 1407만 원)가 남아 있었다.
앨런은 “신용카드 빚의 절반 가까이를 갚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다만 '굿모닝 아메리카' 측은 AI 조언을 맹신하기보다는 도구로 활용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조언도 함께 전했다.
재정 전문가들은 부채를 줄이기 위해선 무엇보다 소득 수준에 맞는 지출 습관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테드 로스먼 뱅크레이트 수석 산업 애널리스트는 “많은 사람이 현재 저축이 줄고 부채가 늘어난 상황”이라며 “큰 지출 대신 차를 조금 더 오래 타거나 주방 수납장을 몇 년 더 쓰는 것이 오히려 현명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