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가 철강산업의 구조적 위기 상황에 대응해 산업위기 선제대응 지역 지정을 위한 ‘철강산업 위기대응 협의체’를 가동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전남은 전국 철강 생산량의 3분의 1을 책임지고 있는 만큼 미국 고율 관세, 중국 저가 수입재 확대 등에 맞서 경쟁력 확보에 총력전을 펼친다는 방침이다.
18일 전라남도에 따르면 도와 광양시·순천시, 유관기관, 기업인 등 총 28명의 위원으로 이뤄진 ‘철강산업 위기대응 협의체’는 정책 자문과 기업 애로·규제 발굴, 정부 공동 건의, 세미나·간담회 개최 등을 통해 현장 중심의 대응체계를 마련하는 역할을 한다.
전남도는 전략산업국장을 단장으로 ‘위기대응 전략 및 규제개선’과 ‘인프라 조성·인력양성’의 두 개 분과의 별도 전담 태스크포스(TF)도 구성·운영해 기업 애로 발굴과 규제개선, 국가산단 중심 인프라 확충, 기술인력 양성, 투자유치 협력 등 지역 철강산업 기반 유지를 위한 대응에 나서고 있다.
전남 철강산업은 지역내총생산(GRDP)의 23.1%와 전국 철강 생산량의 34.4%를 차지하는 핵심 산업으로 전남 수출의 17.9%를 담당하고 있다.
전남도는 철강산업의 위기 극복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정부에 공식 건의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연구개발, 고용·판로, 투자 등 종합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총 10억 원 규모의 ‘철강기업 경쟁력 강화 지원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산업 경쟁력 강화 기반 마련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탄소감축 기술개발 지원, 철강 디지털전환 실증센터 구축 등을 위한 지원체계를 강화한다.
여기에 철강산업 등 국가기간 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해 구조조정 지원과 규제 특례를 포함한 ‘국가기간산업 지원 특별법’ 제정을 차기 정부 대선공약 과제에 포함시켜 정부 차원의 종합적이고 지속가능한 지원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소영호 전남도 전략산업국장은 “전남 철강산업 위기 극복을 위해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과 특별법 제정 등 핵심 과제를 정부와 국회에 적극 건의하고, 지역 산업의 재도약 기반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