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딥페이크·딥보이스 등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신종 범죄를 막기 위해 경찰청 내 AI 전담 헤드쿼터를 설치했다. 6·3 대선을 앞두고 후보 얼굴과 허위 내용을 합성한 ‘딥페이크 영상’이 범람하는 등 AI 범죄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경찰청은 16일 ‘치안 AI 혁신 추진 태스크포스(TF)’를 2일 신설하고 분야별로 산재됐던 AI 관련 정책 및 범죄 대응 방안을 일원화했다고 밝혔다. 미래치안정책국 산하에 설치된 TF는 3개월 단위로 연장할 수 있으며 2개 계로 이뤄져 총 30가지 전략 과제를 추진한다.
그동안 경찰은 AI 연관 범죄를 분야별로 따로 대응해왔다. 현장에서 발견되는 범죄자의 발자국인 족적흔을 채취해 추적에 나서는 역할은 과학수사과가, 딥페이크 등을 판별하는 기술은 사이버범죄수사과가 담당하는 식이다. 이 때문에 AI 범죄와 관련해 일관적인 정책 대응이 어렵다는 지적이 경찰 내에서 계속 나왔다.
이에 경찰은 TF를 설치해 효율성을 제고하고 경찰 전반의 AI 범죄 대응 역량을 높이겠다는 복안이다. TF는 다양한 범죄 대응 기술을 발굴하는 한편 연구개발(R&D)이나 예산 편성 등 각종 행정 업무를 모두 전담한다.
TF는 이미 AI정책계와 AI융합계로 나누어 각각 16개, 14개의 전략 과제 추진에 착수했다. 또 40여 명의 AI 전문가 인력풀을 갖춰 최대한 이들의 전문성을 활용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