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본 나가사키시가 유네스코 등재 10년을 기념해 ‘군함도’(정식 명칭 하시마)의 모습을 가상현실(VR) 영상으로 제작한 가운데 서경석 성신여대 교수는 “강제노역을 또 외면했다”고 비판했다.
12일 서 교수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군함도가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이후 일본은 나가사키에 ‘군함도 디지털 뮤지엄’, 도쿄에 ‘산업유산정보센터’ 등 다양한 시설을 만들어 왔지만 조선인 강제노역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달 8일 니혼게이자이신문 보도에 따르면 최근 나가사키시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군함도(하시마)’의 1970년대 활기찬 모습을 VR로 제작했다.
관광객들은 군함도 내 일정 장소에서 무료 애플리케이션 ‘스트리트 뮤지엄’을 다운받으면 VR 영상을 둘러볼 수 있다. 또 해당 장소에 가지 않아도 앱을 통해 당시 모습을 구현한 애니메이션을 볼 수 있다.
일본은 지난 2015년 군함도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될 당시 조선인 강제 노역 등 전체 역사를 충실히 알리겠다고 약속했지만 이를 10년째 지키지 않고 있다.
서 교수는 “설명에는 오락시설까지 갖추는 등 생활에 필요한 모든 걸 섬에서 조달할 수 있었다고 했지만, 조선인 강제노역에 관한 역사적 사실은 또 외면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지난 10년 동안 일본에게 속아 왔다”라며 “그렇다면 이젠 대일 외교 전략을 바꿔야만 할 것”이라고 격분했다.
서 교수는 아울러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건 강제동원 역사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때”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