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 연일 금리를 내리라고 압박하는 가운데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연준 청사 보수공사 비용을 삭감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머스크 CEO는 지난달 30일(현지 시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워싱턴DC의 연준 본부 보수공사 비용이 과도하다며 자신이 이끄는 정부효율부(DOGE)의 인력을 파견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머스크 CEO는 “결국 이 모든 것은 납세자들의 돈”이라며 “연준이 실제로 인테리어 디자이너에게 25억 달러(약 3조 6000억 원)를 쓰고 있는지 반드시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연준은 2021년부터 걸쳐 본부 보수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2022년 기준으로 공사에 들어간 비용이 25억 달러로 급증했는데 연준은 이에 대해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이 심화되면서 건축 자재비와 인건비가 크게 늘어난 탓이라고 해명했다. 연준은 의회 예산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수익으로 운영 비용을 조달하지만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 지출 증가로 최근에는 적자를 기록했다.
머스크 CEO의 연준 공사비용 조사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금리 인하 압박과 맞물리면서 묘한 해석을 낳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임기 초부터 자신의 관세 정책과 금리 인하는 병행돼야 한다며 연준을 수 차례 비난한 바 있다. 지난달 17일에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향해 금리 인하를 재차 촉구하면서 사임하라는 압박을 넣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의장의 임기가 빨리 종료돼야 한다”며 “내가 그의 사임을 원하면 그는 매우 빨리 물러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