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을 향해 또 다시 공개적으로 금리 인하를 압박했다. 파월 의장을 향한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와 사퇴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미스터 투 레이트(Mr. Too Late)이자, 중대 실패자가 금리를 내리지 않으면 경기 둔화가 있을 수 있다”고 썼다. ‘미스터 투 레이트’나 중대실패자 모두 파월 의장을 지칭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많은 이들 ‘선제적 인하’를 요구하고 있다”며 “에너지 가격과 바이든의 계란 가격을 포함해 식료품 가격이 상당히 내려갔고, 대부분의 다른 품목들 가격도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현재 미국 경제는 인플레이션 우려는 없는 반면 금리 인하 지연 여부에 따라 경기둔화는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은 이미 일곱 차례나 금리는 인하했는데 파월 의장은 언제나 너무 늦게 행동한다”며 “바이든과 카멀라 해리스 당시 부통령의 당선을 돕기 위해 금리를 내렸을 때만 예외적으로 금리를 인하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들어 연준의 금리 인하를 압박하고 파월 의장에 대한 사퇴를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발언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트럼프는 지난주 조르지아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와의 회담 당시 기자들이 파월 의장에 대해 묻자 “그에게 불만이 있고 그 사실을 알렸다”며 “내가 그를 내보내고 싶다면 그는 정말 빨리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튿 날인 18일에도 “연준 의장이 자신이 하는 일을 제대로 이해한다면 금리가 내려갈 것”이라며 “그는 금리를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케빈 해셋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도 지난 18일 트럼프 팀이 파월 의장 해고 여부를 실제로 검토하고 있다고 시인했다. 반면 파월 의장은 앞서 여러 차례에 걸쳐 내년 5월인 임기 만료 이전에 자진 사임할 뜻이 없음을 피력한 바 있다.
모넥스의 외환 트레이더인 헬렌 기븐은 “파월 의장을 해고할 가능성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생각은 실현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국제 사회에서 미국 중앙은행의 독립성과 안전 자산인 달러의 지위에 상당한 위협으로 간주된다”며 “경기 침체 시 중앙은행이 독립적으로 움직이지 못한다면 침체가 더욱 심화될 수 있고 시장의 우려는 증폭될 것”이라고 말했다.
/뉴욕=김흥록 특파원 ro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