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기 사교육 경험이 아이의 발달과 학업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김은영 육아정책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15일 교육부 직원을 대상으로 한 교육에서 ‘영유아기 사교육 경험과 발달에 관한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영유아기 사교육은 언어능력이나 어휘력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해결 능력과도 유의미한 연관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예술 사교육에 참여한 아동은 예방책 능력이 높았다.
특히 학습 중심 사교육에 많이 노출된 아이들은 오히려 자존감에 부정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성실성이나 개방성, 타인 이해 등 정서·행동 특성과는 상관성이 없었다.
또한 영유아기 사교육은 초등학교 진학 후에도 학업 수행 능력에 별다른 효과를 내지 못했다. 자아 존중감이나 삶의 만족도에서도 유의미한 영향은 없었으며 오히려 일부 부정적 효과가 확인됐다.
연구진은 “아동의 지능지수와 가구 소득, 부모 학력 등 다양한 변수를 통제했음에도 사교육의 독립적 효과는 미미했다”며 “이는 사교육 효과가 과대 평가됐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과도한 사교육이 놀이와 휴식 시간을 감소시켜 오히려 아동의 전인적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최근 ‘4세 고시’ ‘7세 고시’ 등 유명 영어유치원 입학시험이 알려져 논란이 일었다. 일부 영어유치원의 경우 경쟁률이 3대 1에서 5대 1까지 이른다. 한 영어유치원 관계자는 “영어유치원은 ‘명문초→초등 의대반→영재입시반’으로 이어지는 입시 코스의 출발점으로 여겨져 학부모들의 관심이 커졌다”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