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11일 제주의 한 고등학교에 '4·3 유전자란 무엇입니까?'라는 대자보가 게시돼 논란이 됐다. 해당 학교 교사가 수업 시간 중 학생들에게 "4·3 유전자가 흘러서 그래"라고 말한 것을 비판하는 내용이다.
12일 제주도교육청에 따르면 이 학교 학생회실 벽면과 외부 조각상 근처에 붙은 대자보에서 3학년 학생들은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대답을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4·3 유전자가 흘러서 그래'라는 발언을 내뱉었다"며 "해당 발언이 수십 년 전 피해자들을 '폭도', '빨갱이'라 지칭하던 입장과 다를 것이 무엇인가?"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제주도민의 3분의 1 가량이 학살 당했음에도 오랫동안 진상규명이 이루어지지 않아 생존자들마저 아픔을 숨겨야 했던 제주의 역사를 교육자가 이처럼 사사로이 거론하는 것이 과연 옳은 행동인가"라고 따졌다. 끝으로 "학교의 교육 목표에 걸맞게 그릇된 역사인식을 알리고, 학교의 조치와 교사의 반성을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자보에 또 다른 학생들은 '왜곡된 역사의식, 지역혐오성 발언', '사과해요 우리한테', '학교의 합당한 처분을 요구합니다' 등의 메모지를 붙였다.
이에 교육청이 해당 학교 조사에 나선 가운데 학교 측은 학교장 명의 공식 입장문을 통해 "학생과 학부모·지역사회·교육 공동체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 드려 깊이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학교 측은 "교사 면담과 진술서를 통해 첫 수업의 분위기를 유연하게 만들기 위한 말이었음을 확인했지만, 역사적 사건을 언급하는 방식에 있어 부적절했다고 판단된다"며 "해당 교사에게는 해당 사안의 엄중함을 경고했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4·3 평화공원 견학과 4·3 계기 교육 등 매년 교내에서 진행하고 있는 인권과 역사 감수성 교육을 전 교직원과 학생을 대상으로 더욱 내실화하겠다"며 "교육적 책임과 윤리 의식을 되새기고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적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