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美전역서 '反트럼프' 시위…"미국 무너진다" 분노한 시민 60만명 거리로

"일방주의 멈춰라" "트럼프 나가라"

관세정책·사회보장 축소 등 반대

런던 등 유럽 주요 도시서도 가세

트럼프는 마러라고서 골프 '빈축'

5일(현지 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일방적인 국정 운영을 규탄하는 대규모 시위가 미 전역에서 열린 가운데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집회 참석자들이 트럼프에 대한 분노를 표출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일방주의식 국정 운영과 고강도 관세정책에 대한 반발이 거세게 일고 있다. 5일(현지 시간) 미국 전역과 유럽 주요 도시에서는 수십만 명이 거리로 쏟아져 나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에 맞서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

주요 미국 언론에 따르면 이날 전국 50개 주에서 진보 진영 단체 150곳 주도로 1400건이 넘는 시위가 진행됐다. 주최 측은 사전 신청자 수는 60만 명이었지만 현장엔 수백만 명이 참석했다고 밝혔다. 워싱턴포스트(WP)는 시위가 대부분 평화롭게 진행됐지만 곳곳에서 분노와 긴장이 감돌았다고 전했다. 시민들은 ‘손을 떼라’는 의미인 “핸즈 오프(Hands Off)” 구호를 외치며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한 관세 부과 조치가 물가 상승을 초래하고 정부의 사회 안전망 축소로 이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백악관에서 불과 1.6㎞ 떨어진 워싱턴기념탑 인근에는 수천 명이 운집해 “트럼프와 일론 머스크를 막아라” “왕은 없다”는 구호를 외치며 북을 두드렸다. 이들은 사회보장제도 축소, 국립공원 예산 삭감, 재향군인 지원 축소, 이민자 탄압 등에 강하게 반대하며 “억만장자들의 권력 찬탈을 멈춰야 한다”고 한목소리로 외쳤다.

제이미 래스킨 민주당 하원의원은 “트럼프는 무솔리니의 정치와 허버트 후버의 경제를 결합한 인물”이라며 “우리는 독재자가 아닌 국민이 주인이 되는 나라를 만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맨해튼에서 시민들이 '핸즈 오프(손 떼라)'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날 진보 진영의 주도로 미국 전역에서 1400여건의 시위가 벌어졌으며, 총 참가 인원은 60만 명으로 추산된다. 전국 단위의 조직적인 반(反) 트럼프 시위가 촉발된 것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75일 만이다. 로이터연합뉴스




지역별로 각기 다른 불만이 터져 나왔다.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는 공중보건 예산 삭감과 대규모 인원 해고에 대한 항의가 쏟아졌고 아이다호주 케첨에서는 산림청 예산 삭감에 분노하며 인구 3500명 중 500명이 거리로 나섰다. 런던·파리·베를린 등 유럽 주요 도시에서도 “트럼프를 내쳐라” “관세를 멈춰라”는 시민들의 구호가 울려 퍼졌다.

시민들을 거리로 나서게 한 결정타는 트럼프 대통령이 2일 발표한 전방위적 상호관세 정책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4일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4%가 트럼프의 관세정책에 반대했으며, 75%는 관세정책으로 생활비가 크게 오를 것으로 우려했다. 이는 올 1월 관세정책 지지율(48%)이 반대(46%)를 앞섰던 것과는 정반대 흐름이다. 경제정책 전반에 대해서도 부정 평가가 52%로 긍정 평가(44%)보다 높았다.

관세정책과 맞물린 연방정부 구조조정은 시민들의 불안을 더욱 키웠다. CNN에 따르면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이자 정부효율부(DOGE) 수장으로 임명된 머스크가 주도한 대대적인 구조조정으로, 현재까지 최소 12만 명의 연방 공무원이 해고됐다. 사회보장청과 국제개발처(USAID)는 사실상 마비 상태에 놓였다.

강경 일변도인 이민 정책도 한몫했다. 국경에서는 대대적인 단속이 이뤄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합법 체류 중인 이민자가 실수로 추방되는 일도 벌어졌다. 여기에 기후변화 규제 철회, 공립학교 지원 축소, 총기 규제 완화 등 민감한 정책들이 동시에 추진되면서 시민들의 불만이 전국적인 분노로 확산하는 양상이다.

한편 미국 전역에서 수십만 명이 시위에 나선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플로리다 팜비치의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골프를 즐겨 빈축을 샀다. 리조트에서 약 6㎞ 떨어진 곳에는 400여 명의 시위대가 모여 “증시는 폭락하는데 트럼프는 골프 친다”는 문구가 적힌 팻말을 들고 항의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를 비판하는 각종 밈(인터넷 유행 콘텐츠)도 쏟아졌다. X(옛 트위트)의 한 이용자는 트럼프 대통령과 JD 밴스 부통령이 백악관의 집무실에서 함께 앉아 펭귄 한 마리를 앉혀 놓고 손사래를 치는 사진을 올렸다. 이 네티즌은 “펭귄은 정장을 입었는데, 허드맥도널드제도에 대한 관세를 피하지 못했다. 아마도 고맙다고 하지 않아서?”라고 적었다. 미국이 사람이 살지 않는 남극해 허드맥도널드제도에도 상호관세를 부과한 것을 블라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백악관 방문 때 밴스 부통령이 수모를 안겨준 일에 빗대어 조롱한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