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연간 외래진료 이용 횟수(치과 제외)가 18회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23년 기준 의료서비스 이용 현황, 보건의료 질 통계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23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 국민 1명이 병의원을 찾아 의사(한의사 포함) 진료를 받은 횟수는 18.0회로, 전년(17.5회)보다 2.9% 늘었다. 한 달 평균 1.5회 병의원을 찾은 셈이다. 2023년 1인당 외래진료 횟수는 비교 가능한 OECD 회원국 평균(2022년 6.4회)의 2.8배에 달한다.
외래진료를 성별로 나눠보면 남성은 17.4회, 여성은 21.9회 이용했다. 연령별로 봤을 때 20∼24세(8.9회)만 2023년 한 해 외래진료 횟수가 한 자릿수대였다. 횟수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많아져 75∼79세에서 40.9회를 기록했다.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향후 어르신들의 외래진료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치과 진료까지 포함한 1인당 외래진료 평균 횟수(19.6회)보다 외래진료를 더 많이 이용한 지역은 서울(22.8회), 대구(22.5회), 부산(22.2회), 대전(22.0회), 전북(21.4회), 제주·광주(20.1회) 등이었다.
이처럼 진료실을 찾아가는 횟수는 증가했지만, 환자의 만족도는 다소 하락했다. 16세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물었을 때 의사의 진료 시간이 충분하다고 느낀 환자 비율은 2023년 83.4%에서 지난해 82.5%로 하락했다. 의사의 설명이 이해하기 쉽다고 경험한 환자 비율도 같은 기간 92.2%에서 91.8%로 소폭 줄었다.
비용 문제 때문에 진료를 취소한 환자 비율은 1.5%에서 2.7%로 오르는 등 의료 접근성 측면에서의 긍정적 경험도 줄었다. 특히 소득 수준이 낮은 1분위 그룹에서 값이 비싸 진료를 취소한 비율은 2023년 3.1%에서 지난해 6.0%로 올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연구진은 "의료 접근성 측면에서 불평등이 심화하지 않도록 격차에 대한 지속적인 추적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