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1개월 동안 펼친 주요 정책에 대해 유권자들이 중간 점수를 줬다고 로이터통신이 23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특히 인플레이션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에 대해서는 지지율이 30%대로 낮게 나왔다.
로이터가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1개월을 맞아 여론조사업체 입소스와 공동으로 미국 전역의 성인 414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오차 범위 ±2% 포인트)에 따르면 응답자의 과반인 58%가 ‘인플레이션이 향후 선거 결과를 결정할 주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나 트럼프 정부가 인플레이션 대응을 잘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유권자 비율은 32%로 비교적 낮게 나왔다.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이자 일론 머스크 정부효율부(DOGE) 수장이 주도하고 있는 연방 정부 지출의 대대적 삭감 정책에 대해서도 반대한다는 응답이 53%로 찬성(42%)보다 많았다. 로이터는 “응답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연방 정부 축소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지지하는 정당에 따라 찬반 의견이 극명하게 갈렸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응답자 가운데 공화당 지지자들은 82%가 정부 지출 축소를 찬성했지만, 민주당 지지자 중에서는 찬성률이 7%에 불과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불법 이민자 추방 정책에 대해서는 찬성한다는 응답은 55%로 반대한다는 응답률 41%보다 높게 나타났다.
앞서 CNN과 워싱턴포스트(WP)가 각각 여론조사업체와 진행한 여론조사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집무 수행에 대한 찬성 대 반대 비율은 CNN 조사에서 47% 대 52%, WP 조사에서는 43% 대 48%였다. 두 조사 모두 반대 비율이 5%포인트 우세했다.
WP 여론조사에서는 10명 중 6명가량이 캐나다와 멕시코 제품에 관세를 부과한 정책에 반대 의견을 표시했다. 중국에 대한 관세에는 찬성하는 비율이 50%로, 반대하는(45%) 비율을 소폭 넘어섰다. 응답자 10명 중 7명은 이런 관세 정책이 물가를 올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전반적인 경제 정책에 대한 의견도 반대(53%)가 찬성(45%)보다 우세했다.
CNN이 진행한 조사에서도 경제 정책에 비판적인 의견이 두드러졌다. 응답자의 62%가 ‘트럼프 대통령이 물가를 낮추기 위해 충분히 노력하지 않는다’는 데에 동의했다. 공화당 지지자의 47%, 민주당 지지자의 73%, 무소속의 65%가 이런 견해에 공감을 표시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