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지역을 3단계에 걸쳐 확대해 오는 3월 28일부터는 전국 어디서나 신청할 수 있게 된다.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말 시범 도입한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지역을 단계적으로 전국으로 확대한다고 9일 밝혔다.
현재 광역 지방자치단체 중 세종시, 기초 지자체에서는 강원 홍천·경기 고양·경남 거창·대전 서구·대구 군위·울산 울주·전남 여수·전남 영암에서 시범 운영 중이다. 발급 지역 확대는 기술·제도적 개선 사항을 발굴하고 보완하기 위해 3단계로 나눠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1단계는 2월 14일부터 진행된다. 대상은 시범 발급 기초 지자체가 속한 광역 지자체 중심으로 선정했다. 대구·대전·울산·강원·전남·전북·경남·경북·제주 등이다. 고양시가 속한 경기도는 인구 규모 등을 고려해 1단계에서 제외됐다.
2월 28일부터 진행되는 2단계 지역은 인구 규모가 크고 젊은 세대가 많은 인천·경기, 1단계에 포함되지 않은 도 지역인 충북과 충남이다.
3월 14일부터 3단계가 적용된다. 대상 지역은 인구 규모가 큰 권역별 거점 특·광역시인 서울·부산·광주로 다양한 업무환경 및 대량 민원 대응 등 1~2단계의 경험을 종합적으로 활용하게 된다.
2주 뒤인 3월 28일부터는 주민등록지와 상관없이 전국 어디에서나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신청하고 발급받을 수 있다. 1⁓3단계에서는 주민등록지 관할 지자체 주민센터에서만 신청·발급할 수 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행정기관·금융기관·병원 등에서 실물 주민등록증과 동일하게 사용 가능하다. 주요 공공서비스와 모바일 금융서비스에서의 사용범위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고기동 행안부 장관 직무대행은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디지털 시대에 걸맞게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에서 국민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것”이라며 “3월 28일부터는 전 국민이 전국 어디서나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