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연일 좌우를 넘나드는 광폭 행보를 펼치자 이를 견제하기 위한 목소리도 곳곳에서 쏟아지고 있다. 조기 대선 정국이 펼쳐질 수 있는 상황에서 이 대표의 독주 체제를 지켜보고만 있을 수 없다는 위기감에서다. 당장 친노·친문 적자로 불리는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는 민주당 복당을 신청하며 사실상 차기 주자 경쟁에 뛰어들었다.
김 전 지사 측은 5일 언론 공지를 통해 “김 전 지사가 지난달 31일, 직전 당적지였던 경남도당에 복당 신청했고 현재 복당 절차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김 전 지사는 2021년 이른바 ‘드루킹’ 사건이 대법원에서 징역형이 확정되면서 피선거권 상실과 함께 자동으로 탈당 처리됐다.
지난해 말 완전 귀국 이후 ‘메시지 정치’에 집중했던 김 전 지사는 이날 라디오 인터뷰를 재개하면서 정치적 활동 반경을 넓히기도 했다. 김 전 지사는 “일극 체제 과정에서 떨어져 나간 당원이나 지지자들을 선거 시기에 끌어안지 않고서는 선거에서 이기기 어렵다”며 “민주당이 품을 넓혀야 한다”이라고 말했다. ‘통합’을 고리로 이 대표를 향한 압박 수위를 높인 셈이다.
또 다른 비명계 잠룡인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이 대표를 향해 당내 비판 목소리에도 귀 기울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 전 총리는 이날 CBS 라디오에서 “민주당의 생명력은 포용성과 다양성·민주성”이라며 “민주당이 김 전 지사와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의 비판 정도는 충분히 받아내야 당에 대한 지지가 올라간다”고 강조했다.
앞서 김 전 지사는 지난 총선 당시 당내에서 나온 노무현·문재인 전 대통령 모욕 발언에 대한 사과를 요구했고 임 전 실장은 이 대표가 지난 대선 결과에 대한 부족한 점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이 대표의 ‘우클릭’에 경계를 표했다. 표심을 겨냥해 ‘실용주의’만 앞세우다가는 자칫 민주당의 정체성이 흔들릴 수 있다는 논리다. 김 지사는 이날 공개된 유튜브 방송에서 “진보의 가치와 철학을 실용주의적으로 접근해 푸는 것은 충분히 필요하다”면서도 “우리(민주당)가 추구하는 가치와 철학·정체성을 분명히 유지해야 된다”고 경고했다.
여당에서는 이 대표가 자신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2심 재판부에 위헌법률심판 제청을 신청한 것을 문제 삼았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페이스북을 통해 “자신의 재판을 무한 지연하고 그 틈에 조기 대선이 있으면 선거로 죄악을 덮어버리겠다는 뜻”이라며 “(이 대표는) 기본사회를 외치기 전에 기본 도덕이나 챙기시라”고 질타했다.
이에 이 대표 측은 “정당한 방어권 행사”라며 “위헌법률심판 제청 신청 사건은 별도 사건 번호가 부여되므로 재판을 지연시키지도, 시킬 수도 없다”고 반박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