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일본에서 기업들이 젊은 인재 확보를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다.
3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직원이 대학 시절 빌린 학자금을 대신 갚아주는 기업이 늘고 있다. 작년 말 기준 2781개 사로, 1년 만에 두 배로 증가했다.
학자금을 대출하는 일본학생지원기구는 2021년 4월 기업 등을 대상으로 ‘대리 반환’ 제도를 도입했다. 직원이 기구에 갚아야 할 금액을 기업이 직접 송금할 수 있게 했다.
한 기업은 작년 11월 기준 정규직의 약 10%에 해당하는 27명의 학자금을 대신 상환하고 있다. 7년에 걸쳐 대출금 전액을 대신 갚는데 대상은 신입이든 경력이든 따지지 않는다. 직원이 7년까지 다니지 않고 퇴사해도 환불을 요구하지 않는다.
학자금 상환을 대신하는 중소기업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지자체도 등장했다. 교토부는 변제액 등에 따라 직원 1인당 연간 9만엔까지 지원한다. 군마현도 1인당 최대 6만엔을 보조한다. 젊은 일꾼의 지역 정착을 기대하고 있다.
일본이나 한국 등은 주요국들과 견줘 대학 등록금을 정부가 책임지는 비중이 낮은 나라에 속한다.
지난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교육지표를 보면, 고등교육에 투입되는 정부 재원은 한국 43%, 일본 36%에 불과하다. OECD 평균인 67%와 20~30%포인트 격차가 난다.
헌법으로 무상 공교육을 정한 프랑스나, 주립대에 학비가 없는 독일 등과는 견주기조차 어려운 수준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일본에서도 대학 때 빌린 학자금이 길게는 20년 가까이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 일이 이어지고 있다.
일본 대학의 첫해 등록금은 국립대 기준 약 81만엔, 사립대 대부분은 100만엔이 넘는다. 2023년 기준 졸업 뒤 일정 기간 대출금을 분할 상환하는 이들은 483만명이며 개인당 평균 대출액이 310만엔에 이른다.
갓 사회에 진출해 큰돈을 만지기 어려운 대학 졸업자들이 매달 1만5000엔 정도를 갚아 나갈 때, 상환을 끝내는 데 14.5년이 걸린다. 20대 중반에 대학을 졸업하면, 마흔살이 돼야 학자금 대출 굴레에서 벗을 수 있는 셈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