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영매체가 자국 인공지능(AI) 딥시크의 성공에 대해 “미국 행정부의 대(對)중국 첨단 기술 통제의 실패 사례”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미중 경쟁이 아닌 협력으로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인민일보 계열 영문 매체인 글로벌타임스는 "딥시크의 성공은 바이든 정부의 4년에 걸친 중국 AI·컴퓨팅 파워 통제가 실패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중국이 AI 발전의 독자적 경로를 개척하도록 자극해 자율적 AI 발전에서 상당한 발전을 얻게 했음을 보여준다"는 중국 통신업계 관측통 마지화의 주장을 28일 기사에서 실었다. 마지화는 “글로벌 AI 커뮤니티가 컴퓨팅 파워 증대에 초점을 맞추는 동안 중국은 최적화를 통해 새로운 길을 개척했다”며 “비용 효율적이면서도 (다른 모델과) 동일하게 효과적인 새로운 접근법을 열었다”고 강조했다.
2022년 바이든 정부는 중국군이 첨단 반도체를 군사용으로 전용할 위험을 언급하며 엔비디아와 AMD에 고성능 반도체의 대중국 수출을 통제했다. 이후 엔비디아는 사양이 낮은 칩만 중국에 수출할 수 있었고 딥시크는 이 같은 저사양 칩을 활용해 AI를 개발했다고 한다.
다만 글로벌타임스는 딥시크 성공이 미중 경쟁보다 협력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했다. 마지화는"딥시크의 등장과 중국 AI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중국과 미국 사이에는 이제 더 큰 상호보완적 협력 잠재력이 생겼다"며 "양국은 각자 강점을 활용해 그 어느 때보다 유망한 협력을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