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를 두고 해외 항공 전문가들이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가 가장 큰 원인이라는 가설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29일(현지 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해외 항공 전문가들은 한국 언론을 통해 공개된 영상을 본 후 풀리지 않은 의문이 많다고 지적했다. 공개된 영상은 랜딩기어가 없는 보잉 737-800 여객기가 매우 빠른 속도로 활주로를 미끄러지다 불이 붙고 파편이 터지며 벽에 부딪치는 모습을 담고 있다.
항공 전문가이자 이탈리아 공군 아카데미의 전 교사인 그레고리 알레지는 “비행기는 왜 그렇게 빠르게 달렸나, 플랩(Flap, 날개에 장착된 보조 조종장치)은 왜 열리지 않았나, 랜딩기어는 왜 내려가지 않았나와 같은 많은 질문들이 남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물론 조류 충돌이 있었을 수 있지만, 이 정도로 거대한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을 조류 충돌이라고는 설명할 수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비행 안전 전문가이자 루프트한자 조종사인 크리스티안 베케르트 역시 영상을 분석한 결과 “역추진 장치를 제외하면 비행기 브레이크 시스템이 대부분 작동하지 않아 ‘큰 문제’가 발생했고 빠르게 착륙한 듯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또 “랜딩기어가 올라가 있는 동안에는 조류 충돌로 인한 손상 가능성이 낮고, 내려진 상태에서 조류 충돌은 랜딩기어를 다시 올리기 어렵게 만들었을 것”이라며 랜딩기어 미작동에 대해 의문을 보였다.
다른 전문가들도 단순 조류 충돌이 대형 참사로 이어질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한국만 해도 2019년부터 올 상반기까지 발생한 조류 충돌 사고는 623건에 이른다. 항공 전문가이자 에어라인뉴스의 편집자인 제프리 토머스는 “조류 충돌은 아주 자주 발생하지만, 일반적으로 비행기에 손상을 입히는 일은 많지 않다”고 말했다. 호주 항공 전문가 제프리 델 역시 “새떼가 엔진에 빨려 들면서 영향을 줄 수 있지만, 그렇다고 바로 엔진이 꺼지지는 않기에 조종사가 대응할 시간을 벌 수 있다”며 “조류 충돌로 랜딩기어가 펼쳐지지 않는 일을 본 적이 없다”고 지적했다.
다만 조류 충돌설에 무게를 싣는 분석가도 있다. BBC에 따르면 더그 드루리 호주 센트럴퀸즐랜드대 항공학과 교수는 올 여름 기고했던 글에서 “보잉 항공기에는 터보팬 엔진이 사용되는데, 이 엔진은 조류 충돌시 심각하게 손상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항공 사고 원인의 규명을 담당하는 국토부는 현재 블랙박스와 항공일지를 수거해 조사에 착수했다. 국토부 측은 활주로의 길이는 문제가 되지 않으며 끝부분 벽 역시 업계 표준에 따라 지어졌다고 설명했으며 현재 조류 충돌 가능성에 따른 사고에 무게를 두고 조사 중이라는 입장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