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자립준비청년의 홀로서기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5년간 1065억 원을 투입한다.
시는 24일 기자설명회를 열고 ‘자립준비청년 자립지원 마스터플랜’을 발표했다. 5년의 자립준비 기간에 한정된 지원을 자립 전 아동기부터 자립지원 종료 이후까지 확대하고, 천편일률적인 지원에서 벗어나 개인의 필요에 맞는 맞춤형 지원으로 전환하는 것이 마스터플랜의 주요 내용이다.
자립준비청년은 아동양육시설이나 위탁가정의 보호를 받다가 만 18세(보호 연장 시 24세)가 되면 시설에서 나와 남보다 이른 홀로서기를 하는 청년을 가리킨다. 시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서울의 자립준비청년은 1509명이며 이 가운데 매년 150명 정도가 사회로 나온다.
시 여성가족재단이 자립준비청년 55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2020년 기준 이들의 월평균 소득은 156만원이었다. 이들 중 35.9%는 주거불안을 경험했고, 46%는 우울 증상이 의심됐다. 이 중 24.8%는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시는 보호아동의 36.4%가 보호 종료 후 '취업·진학에 대한 걱정'을 1순위로 꼽는 점을 감안해 아동양육시설이나 그룹홈 등에서 생활하는 아동에게 전문적성검사를 통해 흥미와 관심 분야를 찾도록 돕기로 했다. 예체능에 재능을 보이는 아동에게는 월 30만원의 레슨비를 지급한다. 중·고등학생 시기에는 일대일 진로 설계 컨설팅을 해주고 시의 교육 플랫폼인 '서울런'을 제공한다. 양육시설에서 생활하는 아동이 자립생활 경험을 통해 자립의 용기를 얻고 준비를 구체화하도록 미래설계 기회도 제공한다. 시는 이를 위해 시설 아동이 독립 공간을 갖도록 2028년까지 단계적으로 모든 시설에 1인 1실을 마련하고 요리·공과금 납부 등 일상생활을 경험하는 사회연계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우울증 등으로 정서 치료가 필요한 아동에게는 전문 치료 서비스를 제공할 ‘서울아동힐링센터’도 내년부터 운영한다.
가장 중요한 경제적 자립 지원의 경우 기존 자립정착금 2000만원과 자립수당(월 50만원)에 더해 내년부터는 보호 종료 5년 이내 자립준비청년에게 주거비를 월 최대 20만원까지 신규 지원한다.
복권기금을 통해 시가 매입한 ‘꿈나눔하우스’(주택 22곳) 이용 대상도 기존 자립준비청년에서 보호 연장 아동까지 확대한다.
취업 희망자에게는 상담과 일자리 탐색, 인턴십, 취업까지 지원하고 취업에 성공시 ‘새출발응원금’ 50만원을 지급한다.
자립 후에도 아직 20대 초중반인 청년들이 지역사회에 도움을 구할 수 있도록 2028년까지 2억원의 'SOS 자금'을 조성한다. 이 자금은 긴급 위기에 처했거나 도움이 필요한 자립청년을 지원하는데 사용한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실장은 “홀로 어른이 돼야 하는 자립준비청년이 건강한 사회인으로 성장하도록 시가 부모의 마음으로 동행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