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은 수도성곽인 한양도성, 대피성인 북한산성과 함께 조선후기 도성 방어체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문화유산인 ‘탕춘대성(蕩春臺城)’을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탕춘대성의 사적 지정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준비 절차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한양도성·북한산성·탕춘대성을 묶은 ’한양의 수도성곽‘은 지난해 세계유산 등재신청 후보로 선정된 바 있다. 한양도성과 북한산성은 모두 사적으로 지정돼 있다.
실제로 한양도성과 북한산성을 연결하고 있는 ‘탕춘대성’은 3개의 성이 유기적인 하나의 도성 방어체계를 구축하여 운용될 수 있도록 쌓은 독창적인 방어성이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후 도성 방어체계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숙종 41년(1715년) 축조를 시작하여 영조 30년(1754년)에 완성했다.
이번에 사적으로 지정된 탕춘대성 범위는 한양도성 서북쪽의 인왕산 기차바위에서 홍지문을 지나 북한산의 향로봉 아래까지 이어지는 총 길이 5.051㎞ 구간이다. 이중에서 석성 구간 3.549㎞, 토성 구간 0.758㎞, 자연암반 구간 0.744㎞이다.
‘탕춘대성’은 평시에는 성 안에 설치된 군량 보관창고인 평창(平倉)을 지키고, 전시에는 평창에 비축했던 군량을 한양도성과 북한산성에 보급하는 기지 역할을 했다. 한양도성을 지키기 어려워지면 조정과 도성민이 북한산성으로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는 통로가 되어 조선후기 3개의 성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새로운 방식의 도성 방어체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
다만 탕춘대성 건설 후 실제 전투는 발생하지 않아℃ 이러한 도성 방어체계가 실현되지는 않았다.
문화재청은 “서울시와 함께 ‘한양의 수도성곽’이라는 이름으로 탕춘대성, 한양도성, 북한산성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으며, 지난해 9월 유네스코에 예비평가 신청서를 제출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