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하 20도. 모든 것이 얼어붙은 밤이다. 강추위에 전력 설비가 동파돼 곳곳이 정전이다. 아파트는 온수 공급이 안 돼 난방이 중단됐다. 전기 없이 전열기는 무용지물이다. 아파트 주민은 밤새 강추위와 사투를 벌였다. 엊그제는 개나리가 폈을 만큼 따뜻했는데 며칠 사이 기온이 30도 넘게 떨어졌다.
기후변화가 심각해진 20여 년 후 어느 겨울날을 상상해봤다. 지금 당장은 남의 일처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머지않아 기후변화로 우리 생존이 위협받을 수 있다. 며칠 사이 기온이 수십 도까지 변하는 변덕스러운 날씨는 일상이 되고, 우리는 이에 적응하기 위해 힘든 싸움을 벌여야만 할 것이다.
이러한 기후위기가 현실화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전 세계가 손을 잡았다. 지구온난화의 주요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해 2015년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 폭을 1.5도 이내로 유지하기로 한 것이다. 또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한 현실적인 방안으로 원자력에 힘을 싣고 있다. 유엔유럽경제위원회(UNECE)에 따르면 원자력은 수력이나 태양광·풍력보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역시 1㎾h당 탄소 배출량이 원자력은 12g으로 태양광(27g)이나 해상풍력(24g)보다 적은 수준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렇듯 원자력은 청정하면서도 대용량으로 24시간 안정적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밤에 발전을 멈추는 태양광, 바람이 불지 않으면 소용 없는 풍력과는 다르다. 비가 오든 눈이 오든 한결같이 제 역할을 한다.
최근 태양광 패널이 많이 설치된 광주·전남 지역에 10㎝가 넘는 폭설이 내렸다. 한파까지 겹쳐 태양광 패널 위에 내린 눈이 얼어붙으며 태양광발전이 멈췄다. 극복하기 어려운 재생에너지의 한계를 여실히 보여줬다.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는 태양광발전량이 19%가량 감소한다는 결과도 있었다. 깨끗하면서도 듬직하게 제자리를 지키는 발전원이 필요한 이유다.
탄소 중립을 위해 2050년까지 세계적으로 전기화가 49%까지 이뤄지면서 전력 수요가 폭증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어떤 전기를 쓰느냐다. 예를 들어 전기차는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다. 하지만 전기차의 연료인 전기를 생산할 때 온실가스가 배출된다. 그래서 전기차의 탄소 저감 효과를 진짜로 보려면 전기까지 친환경이어야 한다.
20년 후 우리 아이들이 맞이할 미래는 우리 손에 달렸다. 우리가 불편을 참고 탄소 배출을 줄이느냐, 편의를 위해 마구잡이로 배출하느냐에 따라 우리 아이들이 감당해야 할 몫이 달라진다. 최근 서울시에서 내놓은 기후동행카드가 인기를 얻고 있다. 이 카드를 사용하면 지하철로 출퇴근하는 경우 한 달에 2만 원 정도 절감이 된다고 한다. 지하철을 타는 것 같은 작은 실천들이 모여야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다. 기후동행카드 사용에 따른 2만 원의 절감이 10년, 20년 후에는 2000억 원, 2조 원 이상의 가치로 돌아올 것이다.
우리가 할 일은 자명하다. 우리 아이들이 혹독한 기후와 전기도 마음껏 쓸 수 없는 세상을 맞이하게 둘 수는 없다. 지금부터라도 탄소 배출을 줄이는 실천과 함께 전기 끊길 걱정을 할 필요가 없는 친환경 원자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