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81년 박기영・안도현・장정일과 함께 ‘국시’ 동인으로 등단한 향토시인 박상봉(사진)이 세 번째 시집 ‘물속에 두고 온 귀’를 출간했다. 『
이 시집은 첫 출간한 ‘카페 물땡땡’과 두 번째인 ‘불탄 나무의 속삭임’ 에 비해 더 고요하고 투명하고 선명한 작품세계를 보여준다.
시인 정호승은 표사에서 “박상봉의 시를 읽으면 가슴이 떨린다. 마치 내가 몰래 훔쳐보고 싶었던 연인의 일기장을 엿보는 듯하다. 그의 시에는 삶의 비밀이 숨겨져 있어 그 비밀을 엿보고 알아차리고 깨닫는 기쁨은 크다. 그의 시는 일상적 삶의 진실에서 나온다. 일상의 상처와 희망에 깊게 뿌리를 내린 그의 시는 인생의 신비에 가 닿아 있다.”고 극찬했다.
물속에 두고온 귀의 핵심 이미지는 ‘귀’다. 귀는 세상의 울림을 포착하고, 그 울림을 인간 내면으로 증폭해내는 감각기관이다.
이 과정에서 귀는 세상의 울림을 존재의 떨림으로 수용해낸다.
박상봉의 시는 그런 울림과 떨림의 파장에 관한 고백과도 같다.
4부로 구성된 이 시집은 작가가 일상에서 매순간 마주하는 삶을 47편에 담아냈다.
1부는 유년기에 잃어버린 ‘귀(청력)’를 향해 있다. “내 귀는 아이들 곁을 떠나지 못해 / 저 바다 깊은 물속에 산다”(「물에 잠긴다는 것」)면서 영원히 닿을 수 없는 아득하고 막막한 시공간에 놓인 어떤 존재와 “내”가 어떻게 소통하고 이어지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2부 부터는 인간의 다양한 모습과, 내면에 깃든 또 다른 세상을 표현했다.
“빗속에서 들리지 않던 소리가 들리고 / 젖은 발목이 더 젖어 슬프기도 한 여름”(「여름비」)은 너무나 투명해서 오히려 아무 것도 보이지 않는다. 이 투명함 속에서 “물 밑으로 가라앉은 숫자들은 / 저녁이 되면 별이 되어 떠오”(「알츠하이머의 집」)르고, 이렇게 떠오른 별은 시인의 손끝에서 시로 다시 태어난다.
그 별은, 시인의 내면 깊숙이 잠재되어 있던 유년의 기억이다. 여기에 수록된 작품들은 “시절이 다 가도록 다시 꽃피지 않는 집 앞의 사랑나무 / 어둠으로 뒤덮인 마을과 길을 잇는 불빛 아래에서”(「유년시첩」) 꼭꼭 눌러 적은 간절하고 뜨거운 고백록이다. 그 고백록은 대체로 이런 방식으로 이뤄져 있다.
박 시백은 1958년 경북 청도 출생으로 1981년 등단한 뒤 지난1990년 하반기 ‘오늘의 시’(현암사)에 선정되기도 했다.
그러나 한동안 생활고 때문에 절필했으나, 1995년 ‘문학정신’ 가을호에 작품을 발표하면서 활동을 재개하며 근대문학 연구에도 심취해 ‘백기만과 씨뿌린 사람들’ 을 공동 집필하기도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