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건설기업 중 영업으로 번 돈으로 이자도 제대로 갚지 못하는 '잠재적 부실기업' 비중이 지난해 기준 4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잿값 고공행진 속 올해 수익성이 더 악화된 상황에서 내년 건설 경기가 더 둔화되면 건설업체의 전반적인 부실이 본격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28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의 '건설외감기업 경영실적 및 한계기업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이사보상배율이 1 미만인 건설기업은 총 929곳으로 집계됐다. 이는 건설업 전체의 41.6% 수준이다. 이 비중은 2018년 32.3%(642곳)에서 매년 상승해 4년 만에 10% 포인트 가까이 올랐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금융비용(이자비용)으로 나눠 산출한 것으로, 기업의 채무 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다. 만약 이 배율이 1 미만이면 잠재적 부실 상태로 진단하며 한국은행은 3년 연속 1 미만인 업체를 한계기업으로 정의한다.
지난해 국내 건설기업 중 한계기업은 387곳으로 전체의 18.7%를 차지했다. 이는 펜데믹이 본격화한 2020년(15.8%)보다 1.9%포인트 늘어난 규모다. 특히 대내외 변수에 더욱 취약한 중소기업의 상황이 악화됐다. 대기업의 경우 한계기업 수가 2020년 46곳에서 지난해 54곳으로 소폭 늘어나는데 그친 반면 같은 기간 중소기업은 259곳에서 333곳으로 급증했다.
이자보상배율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국내 건설업계의 이자보상배율은 4.1배로 최근 5년간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전체 산업의 이자보상배율은 5.1배였다.
지난해 국내건설업계의 평균 매출액은 1107억 원으로 전년 대비 15.4% 증가했다. 그러나 영업이익률은 1.5%포인트 하락한 4.5%에 그쳤다. 매출이 늘어난 반면 각종 자잿값이 상승한 탓에 영업이익이 뒷걸음질 친 탓이다. 부채비율은 144.6%로 11%포인트 이상 치솟았다.
김태준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내년 이후 건설업체의 전반적인 부실은 본격화될 것"이라며 "이미 상당히 진행된 공사들이 중단되지 않도록 건설업계의 유동성 공급을 현실화하고 부실기업들에 대한 선제적인 구조조정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상적으로 영업하고 있는 전문 및 중소 건설업체들의 연쇄부도 및 흑자도산이 이뤄지지 않도록 공정한 생태계 관리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집슐랭 연재’ 구독을 하시면 부동산 시장 및 재테크와 관련한 유익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생하게 전달받으실 수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