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전화 유심과 번호를 변경하는 수법으로 카카오톡 ‘대포 계정’ 수 만개를 만들어 유통한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다.
1개를 개통하면 여러 개의 번호를 만들 수 있는 알뜰폰 개통방식의 허점을 노린 것으로, 이들 대포 계정은 각종 범죄 조직에게 대량 유통돼 각종 피해를 불러 일으켰다.
부산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는 전기통신사업법 위반, 형법상 사기·공갈 방조 혐의로 총책 20대 A씨 등 12명을 구속하고 공범 48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13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A 씨는 지인 등에게 알뜰폰 통신사 유심 개통 시 번호 변경과 이중 번호를 신청하면 다수의 전화번호를 만들 수 있는 점을 알려주고 범행을 주도했다. 복수의 전화번호로 각각의 카톡을 개통한 후 곧바로 해지해도 카톡 계정이 유지되는 점을 노렸다.
A씨로부터 범행 수법을 배운 이들은 2021년 4월부터 올해 5월까지 서울 강남, 송파 등지에 사무실 15개를 차리고 카톡 대포계정 2만4883개를 만든 후 각종 범죄조직에 개당 2만5000원에서 3만원까지를 받고 팔아넘겼다. 대포 계정을 불법 유통한 대가로 취한 부당 수익만 22억6270만원이었다.
카톡 대포계정을 산 범죄조직들은 전화금융사기, 문자 금융사기, 로맨스 사기, 투자·환전 사기, 강남마약음료 협박·공갈 사건 등을 저질렀다. 피해 신고가 접수된 사건만 509건, 피해액은 112억원에 달했다.
지난해 11월 수사에 나선 경찰은 A씨 일당을 검거하며 유심 199개를 압수하고 범죄수익 14억4000만원을 환수 조치했다.
지난해 10월부터 알뜰폰 업체가 1인당 3개 회선을 만들 수 있도록 제한하고 나섰으나 여전히 하루 만에 5개의 번호를 생성할 수 있고 곧바로 해지해도 카톡 계정을 여전히 사용할 수 있어 대책이 필요하다고 경찰은 지적했다.
경찰 관계자는 “자신의 카톡 계정을 남에게 판매하는 행위는 엄연히 형사처벌 대상”이라며 “범죄에 이용되면 방조범으로 처벌될 수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