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경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장이 3일 자신의 ‘여명 비례 투표’ 발언에 대해 공식 사과했다. 일각에서 요구하는 ‘혁신위원장 사퇴론’에는 “혁신의 의지는 그대로 간다”며 거부 입장을 밝혔다.
이날 사과는 지난달 30일 열린 ‘2030 청년좌담회’에서 해당 발언을 한 지 나흘 만에 이뤄졌다. 김 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어르신들의 마음을 상하게 한 점에 대해 정중히 사과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발언 이후 같은 당 이상민·홍정민 의원 등으로부터 비판이 잇따르고 박광온 원내대표까지 나서 “특정 세대에 상처를 주는 언행을 삼가겠다”고 말한 뒤 ‘대리 사과’ 지적까지 나오자 본인이 직접 입장을 밝힌 것이다.
김 위원장은 공식 사과 이후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대한노인회를 방문해 재차 사과의 뜻을 전했다. 김호일 대한노인회장은 미리 준비한 김 위원장의 얼굴 사진을 손으로 치며 “정신 차리라”고 외치기도 했다.
김 위원장에 이어 박 원내대표도 노인회를 찾았다. 박 원내대표는 “민주당에서 가끔 막말로 뜻하지 않게 상처를 주는 발언이 나와 저희로서도 당황스럽고 안타깝기도 하다”며 “우리 당 의원들은 기본적으로 노인 복지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강화해야 한다는 데 아무도 이의가 없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의 사과에도 당 안팎의 사퇴 여론은 끊이지 않는 모습이다. 나아가 혁신위 해체 필요성까지 제기됐다. 민주당 원로인 유인태 전 국회 사무총장은 CBS 라디오에 출연해 “이게 얼마나 또 총선 악재로 작용하겠느냐”면서 “설화가 생겼으니 (혁신위를) 빨리 해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다만 사퇴를 촉구하는 국가원로회의·대한노인회의 입장에 대해 “혁신의 의지는 그대로 간다”며 사실상 사퇴 거부를 시사했다. 김 위원장은 노인회의 사퇴 요구에 “그건 다른 문제”라고 일축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