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초구 한 초등학교 내에서 교사가 극단적인 선택을 한 배경을 두고 학부모들의 민원에 시달렸다는 주장이 제기된 가운데 해당 학교장이 학교폭력 신고도 없었고 정치인 루머도 사실이 아니라며 무분별한 억측을 자제해 달라고 요청했다.
서초구 소재 A초등학교 교장은 20일 입장문을 내고 "고인의 담임 학년은 본인의 희망대로 배정된 것"이라며 "고인의 담당 업무는 학교폭력 업무가 아닌 나이스 권한 관리 업무였으며, 이 또한 본인이 희망한 업무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올해 3월 1일 이후 고인의 담당 학급의 담임교체 사실이 없다"며 "해당 학급에서는 올해 학교폭력신고 사안이 없었으며, 학교폭력과 관련해 해당 교사가 교육지원청을 방문한 일도 없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SNS에서 거론되고 있는 정치인의 가족은 이 학급에 없음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A학교장은 "무리한 억측과 기사, 댓글 등으로 교사의 명예가 실추되지 않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모든 교직원은 고인의 사인이 정확하게 밝혀질 수 있도록 경찰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학교가 지원할 수 있는 일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시교육청 따르면 교사 B씨는 지난 18일 오전 교내에서 극단적 선택으로 숨을 거뒀다.
B씨의 극단적 선택을 두고 교육계 안팎에선 다수의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온라인상에는 B씨가 담임 및 학폭 업무를 담당하면서 학부모들의 지나친 민원에 시달렸다는 내용이 떠돌았다. 이 과정에서 한 국회의원의 가족이 연루됐다는 루머도 확산됐다.
교원 단체들은 교육당국에 진상 조사를 촉구하고 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은 "작금의 상황을 한 교사의 참담한 교권침해를 넘어 전체 공교육의 붕괴로 엄중히 받아들인다"며 "무분별한 아동학대 신고와 무고성 악성 민원이 더 이상 발 붙일 수 없도록 모든 수단을 동원해 총력 대응할 것임을 분명히 선언한다"고 말했다.
교사노동조합연맹은 전날 "교육당국과 경찰당국에 성역 없는 철저한 진상 조사 및 수사를 요구한다"고 말했다.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393, 정신건강 상담전화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청소년 모바일 상담 ‘다 들어줄 개’ 어플, 카카오톡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