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4월 제조업 경기 지표가 4개월만에 기준선을 밑돌며 위축 국면으로 전환됐다. 본격적인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에도 더딘 내수 회복과 글로벌 수요 위축 영향에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30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4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9.2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월(51.9)은 물론 시장 전망치(51.4)를 모두 밑돈 수치다.
기업의 구매 담당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PMI는 관련 분야 경기 동향을 보여주는 지표다. 기준치인 50보다 높으면 경기 확장, 낮으면 경기 수축 국면을 의미한다.
중국의 제조업 PMI는 지난해 12월 47.0을 기록하며 코로나19 초기인 2020년 2월(35.7)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이후 방역 정책이 완화돼 ‘위드 코로나’로 전환되며 올해 1월 50.1로 회복됐고 2월(52.6)과 3월 모두 경기 확장 국면을 이어갔다.
로이터 통신은 “중국의 4월 제조업 활동이 예상외로 위축되면서 글로벌 수요 둔화와 여전히 불안정한 부동산 분야 속에서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은 경제 회복에 나선 중국의 어려움이 악화했다”고 분석했다.
로이터는 중국 경제가 코로나19의 방역 제한이 풀리면서 억눌렸던 소비가 회복돼 1분기에 예상보다 높은 경제 성장률(4.5%)를 기록했다면서도 제조업 생산이 글로벌 수요 둔화로 그에 못미쳤다고 평가했다.
이날 발표된 중국의 4월 비제조업 PMI는 56.4로 확장세를 유지했다. 전월(58.2) 대비로는 소폭 하락했다. 로이터는 “글로벌 수요 둔화에 따른 제조업 분야의 취약성을 상쇄하고자 서비스 분야 소비에 의존해온 중국 정책 입안자들에게 실망스러운 신호”"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