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8월 미국에서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반도체지원법이 시행된 후 미국에서 관련 투자가 3년 전보다 20배가량 급증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16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반도체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 미국 중심의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조 바이든 행정부의 전략이 먹혀들고 있다.
FT에 따르면 지난해 8월 이후 이달 14일까지 약 9개월간 전기차·배터리·재생에너지 등 청정 기술 분야와 반도체 부문에 대한 기업들의 미국 내 투자가 총 2040억 달러에 달했다. 이는 2021년의 2배, 2019년의 20배다. 특히 1억 달러 이상 투자는 2019년 4건에 불과했지만 IRA 이후에는 지금까지 31건을 기록했다. 투자가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미국 내에서 새로 창출되는 일자리 수는 8만 2000개로 추산된다.
신규 투자의 3분의 1은 대만과 한국·일본 등 외국에 본사를 둔 기업에서 나왔다. FT는 “아시아의 대기업인 LG와 한화, 론지(중국) 등이 지난달 새로운 투자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며 “올해 들어서만 400억 달러의 신규 발표가 이뤄졌다”고 추이를 전했다.
미국이 주요 기업의 투자를 빨아들이면서 동맹국의 반발과 우려도 뒤따르고 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최근 중국을 방문해 “IRA가 서구를 분열시킬 수 있다”고 밝혔고 유럽연합(EU)은 IRA에 대응해 해외로 이전할 우려가 있는 프로젝트에 보조금을 지원하는 내용의 산업 지원 전략을 공개하기도 했다.
IRA와 반도체지원법은 중국 중심으로 구성된 첨단산업의 공급망을 미국 위주로 재편하기 위한 취지의 법안이다. IRA는 북미에서 최종적으로 조립된 전기차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청정 기술에 총 3690억 달러 규모의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반도체지원법은 미국에 공장을 설립하는 반도체 기업에 생산 보조금 390억 달러, 연구개발(R&D) 지원금 132억 달러 등 5년간 총 527억 달러를 지원하는 것이 골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