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국 해군과 일본 해상자위대가 한미일 해상 미사일 방어훈련을 17일 동해 공해상에서 실시했다. 한미일 국방당국이 지난 14일(현지 시간) 워싱턴D.C에서 안보회의(DTT)를 갖고 3개국 미사일 경보훈련과 대잠 훈련을 정례화하기로 합의한 이후 이틀 만이어서 주목된다.
이번 훈련에 우리 해군의 이지스구축함 ‘율곡이이함’과 미국 이지스구축함 ‘벤폴드함’, 일본 해상자위대 이지스구축함 ‘아타고함’이 참가했다. 훈련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도발 상황을 상정해 가상의 탄도미사일 표적을 생성하여 탐지, 추적, 정보공유 등 대응하는 절차를 숙달하는데 중점을 두고 실시한다고 해군은 설명했다.
한미일 3국 미사일 방어훈련은 지난해 10월 한반도 부근에서 처음 실시됐고, 올해 2월 두 번째 훈련이 진행됐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DTT에서 합의한 정례화 시기는 좀 더 논의해야 한다”며 “이번 훈련은 정례화의 일환이라기 보다는 최근 북한 도발에 대한 대응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그 동안 수시로 진행하는 것보다 일정을 정례화하면 예측 가능한 훈련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미일은 또 미사일 방어 훈련과 별도로 한미일 대잠전 훈련을 지난 4일 6개월 만에 재개하기도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