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 안전성 문제로 리콜된 제품이 구매대행이나 오픈마켓 사이트를 통해 국내에서 지속해서 유통되고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중국·미국·유럽 등 해외에서 리콜된 제품의 국내 유통 여부를 모니터링한 결과 600건을 확인해 판매 차단이나 환급, 표시개선을 권고했다고 2일 밝혔다.
이는 전년(382건) 대비 157.1% 늘어난 수치다.
600건 중 대부분인 593건이 구매대행 등을 통해 국내에 유통된 것으로 소비자원은 판매사이트 게시물을 삭제하거나 판매를 차단했다.
나머지 7개 제품은 국내 수입·유통업자를 확인해 환급과 교환 등의 조치를 권고했다.
품목별로는 음·식료품이 249건(41.5%)으로 가장 많았고 화장품 97건(16.2%), 가전·전자·통신기기 93건(15.5%) 등이 뒤를 이었다.
리콜 사유는 음·식료품은 유해 물질 함유로 인한 리콜이 75.1%로 대다수였다.
제품별로는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으로 미국과 영국에서 리콜된 땅콩버터(28건)가 가장 많았다.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운영하는 포털 ‘소비자24’에 따르면 미국 J 제품 26종·S 제품 3종의 리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화장품은 화학(유해)물질 검출로 인한 리콜(47.4%)과 피부접촉에 의한 위해·위험 가능성에 따른 리콜(41.2%)이 많았다.
특히 화학물질의 경우 벤젠이 검출된 화장품이 43건으로 대다수였다.
가전·전자·통신기기는 전기 관련 위해 요인으로 인한 리콜이 51.6%였고, 이 가운데에서도 안전기준에 부적합하게 제조된 전원코드로 일본에서 리콜된 보온병이 31건으로 가장 많았다.
제조국 정보가 확인된 제품은 212건이었는데 중국산이 92건으로 가장 많았고, 미국산(37건)이 뒤를 이었다.
중국산은 아동·유아용품이, 미국산은 화장품이 많았다.
소비자원은 해외 리콜 제품의 국내 유통을 원천 차단하기 위해 국민 참여를 통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또 오픈마켓 사업자와는 자율 제품 안전 협약을, 중고거래 플랫폼 사업자와도 제품 안전 협약을 체결해 안전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아울러 소비자들에게는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이나 소비자24 사이트를 통해 리콜 제품 정보를 확인해달라고 당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