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에서 순자산이 5000만달러(약 696억원)가 넘는 초고액 자산가가 세계에서 11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00만달러(약 13억9400만원)가 넘는 자산을 보유한 ‘백만장자’도 129만명에 달했다.
글로벌 투자 은행 '크레디트 스위스'는 지난 20일 내놓은 '글로벌 부 보고서 2022'에 따르면 한국은 미국과 중국, 독일, 캐나다, 인도, 일본, 프랑스, 호주, 영국, 이탈리아에 이어 세계에서 11번째로 700억원 넘는 자산가가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또 100만달러가 넘는 자산가는 129만명으로 2020년 117만4000명에서 11만6000명 가량 늘어난 수치다. 보유 자산을 기준으로 '글로벌 톱 1%'에 들어가는 한국 성인은 104만3000명, '글로벌 톱 10%'에 속하는 성인은 1848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1년 말 기준 한국 성인 1명당 평균 자산은 23만7644달러(약 3억3116만원), 자산 중간값은 9만3141달러(약 1억2979만원)으로 추산됐다.
보고서는 한국의 부의 불평등은 상대적으로 낮다면서 이는 부분적으로 좀 더 평등한 소득 분배를 반영하며, 상대적으로 무거운 상속세도 영향을 미친것으로 평가했다.
보고서는 또 세계가 코로나19 대유행에서 회복하는 과정에서 자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지난해 전세계 수퍼리치 수가 26만4200명으로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했다. 아울러 수퍼리치가 증가한 가장 큰 원인은 지난해 세계 경제가 코로나19 후유증에서 회복되는 과정에서 부동산 가격과 주가가 폭발적으로 상승한 데 따른 것이라고 보고서는 평가했다.
보고서는 세계적으로 2021년 말에 순자산이 5000만 달러 (약 696억원)가 넘는 초고액자산가는 26만4200명인 것으로 집계했다. 이는 2020년 말 21만8200명을 기록했던 데서 4만6000명 넘게 늘어난 것이다. 2020년 초고액자산가 수도 2019년보다는 4만3400명 많은 것이었다. 결국 이는 지난 2년에 걸쳐 세계 초고액자산을 보유한 성인 수가 50% 넘게 늘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크레디트 스위스는 보고서에서 금융자산의 급증은 2021년에 부의 불평등 증가로 이어졌다면서 이는 아마도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금융자산 가치가 치솟았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크레디트 스위스는 2021년 말 전세계 자산 규모를 463조6000억 달러(약 64경6119조원)로 추산했다. 이는 2020년 대비 9.8% 증가한 것이다. 이 기간 성인 1인당 자산은 6800달러(약 947만원) 늘어 8만7489달러(약 1억 2191만원)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