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숭이두창이 8일 국내에서 제2급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된 가운데, 코로나19 처럼 공기를 통한 감염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지금까지 원숭이두창의 주요 감염 경로는 물집, 딱지, 체액 등 감염된 병변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알려져 왔다.
7일(현지시간) 미 일간지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지난주 여행자들에게 원숭이두창 등 질병 예방을 위해 마스크를 착용하라는 지침을 올렸다가 6일 오후 이를 돌연 삭제했다. CDC는 "혼란이 발생할 것을 우려해 원숭이두창 관련 여행 건강 안내문에서 마스크 권고 내용을 삭제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CDC는 여전히 원숭이두창이 확산하는 국가에서는 가족 내 환자가 있는 사람과 의료 종사자는 마스크 착용을 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는 원숭이두창 확진자의 밀접 접촉자들에게도 적용된다. CDC는 특히 호흡기 증상을 보이는 원숭이두창 환자와 그 가족들에게 수술용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고 여전히 권고한다.
이 같은 상황은 현재 원숭이두창 확산과 관련해 그간 잘 논의되지 않았던 내용, 즉 적어도 단거리에서는 공기를 통해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NYT는 지적했다.
과거 사례를 보면 원숭이두창은 확진된 사람이나 동물과 밀접 접촉한 사람들에게 전파된 것으로 보고됐지만, 간혹 공기전염이 유일한 원인으로 설명되는 사례도 있었다.
2017년 나이지리아 교도소 내 확산 사례를 연구한 학자들은 당시 확진자와 직접 접촉하지 않은 의료진 2명이 감염된 사실을 확인했다.
원숭이두창과 사촌 격이라 할 수 있는 천연두 역시 과거 몇 차례 공기 전염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NYT는 CDC가 원숭이두창을 우려하는 여행객들을 위한 마스크 착용 지침을 뒤집는 것은 코로나19 초기의 혼란한 상황을 연상시킨다고 지적했다.
2020년 9월 CDC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공기전염과 관련한 지침을 내놨다가 며칠 만에 철회했다. 이후 작년 5월에서야 이 바이러스가 '몇분∼몇시간 공기 중에 떠 있을 수 있다'고 인정했다. 전문가들은 원숭이두창 발생이 계속되면서 많은 환자가 재택격리 중인 상황에서, 가족들의 추가 감염을 막기 위해선 공기 전염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한편, 원숭이두창은 중·서부 아프리카 지역에서 풍토병이 된 바이러스지만 5월 7일 영국에서 첫 발병 보고가 있고 난 후 세계 각국에서 확산하고 있다. WHO에 따르면 5일 기준 비풍토병지역 27개국에서 780건의 원숭이두창 감염 사례가 확인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