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페이스북이 코로나19 백신 접종 목표 미달의 원인을 두고 책임 공방을 계속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과 방역 당국이 잇달아 페북 책임론을 제기하자 페북 측도 적극 반박하는 모양새다.
18일(현지 시간) CNN에 따르면 비벡 머시 미 공중보건서비스단(PHSCC) 단장은 “이런 소셜미디어 플랫폼들은 허위 정보가 퍼지는 속도와 규모를 증폭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음을 인식해야 한다”며 또다시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지난 15일 백악관 브리핑에서도 SNS가 코로나19 관련 허위 정보를 충분히 차단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날 머시 단장의 발언은 전날 페북이 자사 공식 블로그에 가이 로즌 부사장 명의로 올린 글에서 “페이스북에 코로나19 백신 접종 부진에 대한 책임을 묻는 손가락질을 멈추라”라고 한 데 대한 대응이다.
로즌 부사장은 “미국 페북 사용자의 85%가 코로나19 백신을 맞았거나 맞기를 바란다”며 “바이든 대통령의 목표는 7월 4일까지 70%였다. 페북이 이 목표를 놓친 이유는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페북 사용률이 미국과 비슷한 영국과 캐나다에서도 유사한 전술을 사용했으며 이들 국가는 대상자의 70%를 넘는 백신 접종률을 달성했다”며 “이는 미국의 (접종) 결과에 페북을 넘는 무엇인가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바이든 정부의 정책 실패 탓이지 페북의 잘못이 아니라는 뜻이다. 페북 내부에서는 바이든 정부가 접종률 미달에 따른 희생양을 찾고 있다고 보기도 한다.
이보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페이스북 같은 SNS가 “사람들을 죽이고 있다”며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도 “페북 등에서 지금까지 취한 조처가 충분한 대응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그들에게 가능한 조치가 더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고 거들었다. 뉴욕타임스(NYT)는 “백악관과 페북 간 갈등의 골이 깊다”며 “바이든 정부가 페북에 허위 정보 확산 관련 정보를 공유해달라고 요청했지만 페북은 이를 거절한 바 있다”고 전했다.
현재 18세 이상 성인 기준으로 1회 이상 백신을 맞은 미국인의 비율은 68.0%다. 70%를 눈앞에 두고 백신 관련 음모론과 불신이 퍼지면서 최근 접종 증가 속도가 급격히 느려지고 있다.
특히 보수 집회에서 백신 거부 서약이 나오고 일부 보수 성향 매체가 백신 혐오를 부추기고 있다.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다급해진 바이든 정부는 페북의 미온적인 태도에 이례적으로 강한 발언을 쏟아내는 모양새다.
그렇지 않아도 바이든 행정부는 독과점 문제로 거대 기술 기업을 좋게 보지 않는다. 이런 가운데 코로나19 백신 관련 문제는 행정부와 플랫폼 기업 간 갈등의 골을 더 깊게 할 것으로 전망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