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코로나19 영향으로 4년제 일반대학에서 개설된 원격 강좌가 전년의 30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 원격 강좌 개설수는 전년대비 67배 넘게 증가한 9만개에 달했다.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1년 6월 대학정보공시 분석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4년제 일반·교육대학 195개교의 지난해 원격 강좌 수는 34만399개로 전년(1만2,110개)보다 28.1배 급증했다.
원격 강좌 수강 인원은 1,000만명을 넘어섰다. 총 1,236만3,342명으로 전년(122만2,075명)의 10.1배에 달했다.
올해 일반대·교육대 입학생은 33만1,638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기회균등선발 신입생 비중은 12.7%로1년 전보다 0.1%포인트 확대됐다. 기회 균형 선발은 기초생활 수급자, 특성화고 졸업자, 농어촌 지역 학생 등을 대상으로 하는 입시전형이다.
신입생의 출신고를 유형별로 보면 일반고 73.4%, 자율고 10.0%, 특성화고 5.9%, 특수목적고 4.5%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고 출신 비율은 전년보다 1.4%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전체 고등학생 가운데 일반고 학생 비중이 감소한 데 따른 결과라고 교육부는 설명했다. 또 기회균형선발 등으로 특성화고 출신이 대학에 가는 길이 넓어지고 검정고시 출신 입학생이 증가한 영향도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에 새롭게 공시된 2021학년도 대입 전형 입학사정관 수는 총 9,129명으로 조사됐다. 학생부종합전형(학종) 서류평가에 참여한 입학사정관은 8,282명으로 집계됐다. 이들의 서류평가 건수는 142만1,561건으로 입학사정관 한 명당 서류평가 건수는 171.6건으로 조사됐다.
올해 1학기 강사들의 평균 강의료는 시간당 6만7,000원으로 지난해보다 1.3% 올랐다.
지난해 신규 학생 창업 기업은 1,509개로 전년보다 23.5% 늘었다. 기술이전 실적은 5,030건으로 7.5% 증가했고 기술이전 수입료는 874억원으로 0.6% 감소했다.
교육부는 이날 전문대 공시결과도 발표했다. 전문대 133개교에서 지난해 개설된 원격 강좌는 8만9,533개로 전년의 67.7배로 증가했다. 원격 강좌 수강 인원은 340만1,596명으로 전년(14만8,523명)의 22.9배로 늘었다. 올해 전문대 신입생의 출신고는 일반고(59.8%), 특성화고(22.6%) 순으로 많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