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표 후보들이 모두 ‘공공 기관 노동이사제’ 도입에 찬성 의사를 밝히며 친노동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재계에서는 이미 노동이사제를 도입하는 공공 기관이 많아지는 상황에서 공공 기관 노동이사제가 입법화될 경우 민간 기업으로까지 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8일 민주당에 따르면 송영길·우원식·홍영표 후보는 당 노동위원회가 보낸 ‘노동정책 질의서’를 통해 공공 기관 노동이사제 도입을 찬성한다는 의사를 나타냈다. 우 후보는 한발 더 나아가 ‘공공 기관 운영에 관한 법’을 개정해 공공기관운영위원회를 현행 기획재정부 산하에서 국무총리실 산하로 옮기고 공공 기관 평가에 노동이사제 실현 여부를 반영하겠다고 공약했다.
노동이사제는 근로자대표가 이사회 멤버로서 발언권과 의결권을 갖고 기관의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방식을 말한다. 지난해 8월 민주당 전당대회 당시 김부겸·박주민 후보는 공공 기관 노동이사제 도입에 찬성했지만 이낙연 후보는 이에 대한 입장을 밝히지 않은 바 있다.
노동계가 친노동 법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후보들을 압박하자 후보들은 노동계의 표심을 얻기 위해 앞다퉈 친노동 공약을 약속하고 있다.
홍 후보는 지난 21일 금융노조와의 간담회에서 “노동이사제를 공론화하고 정년 연장 문제를 논의해 소통하고 이야기하는 당 대표가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우 후보도 이 자리에서 “노동이사제는 일터 민주주의의 정착을 위해 세계적으로 검증된 노동자 경영 참가 모델”이라며 “공공 기관 노동이사제 도입은 문재인 대통령과 우리 당이 수없이 약속하고 협의한 것으로 지체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송 후보는 23일 금융노조와 간담회를 갖고 “노조추천이사제 무산 역시 부끄럽다”고 말한 바 있다.
그러나 당 대표 후보들은 ‘성장 전략’이나 ‘규제 완화’ 공약을 내놓지 않았다. 송 후보는 ‘반도체 산업 활로 개척’, 우 후보는 ‘신재생에너지 산업’, 홍 후보는 ‘4차 산업혁명에 맞춘 일자리 재편’을 성장 전략으로 제시했다. 2018년 전당대회 당시 김진표 후보는 ‘경제 당 대표’를 내세우며 △은산 분리 완화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털(CVC) 조성을 약속했다. 이낙연 전 대표는 지난해 전당대회에서 ‘경제 입법’을 당 대표 첫 번째 과제로 꼽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신산업을 육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민주당은 이날 오전 9시부터 29일 오후 10시까지 당 대표와 최고위원 5명을 선출하기 위한 전국 대의원·권리당원 온라인 투표를 진행한다. 온라인 투표에 참여하지 않은 대의원·권리당원을 대상으로 30일부터 오는 5월 1일까지 ARS 투표를 실시한다. 국민과 일반당원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는 28~29일 시행된다.
/김인엽 기자 insid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