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차기 미국 행정부에서도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 기술을 둘러싼 미중 패권 전쟁이 가열될 것이라는 분석이 유력하다. ‘미래 패권의 핵심은 기술 헤게모니 장악에 달려 있다’는 공감대가 정파를 초월해 형성돼 있기 때문이다. 그런 만큼 미국은 첨단 기술 육성에 바짝 고삐를 죄는 한편 반도체, 인공지능(AI), 양자 컴퓨터 등의 분야에서 중국에 대한 노골적 견제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중국도 정보기술(IT) 기기에 들어가는 희토류 등의 자원 무기화, 엔비디아(ARM 인수)·AMD(자일링스 인수) 등 미국 기업의 인수합병(M&A)에 반대하며 몽니를 부릴 수 있다는 관측이다.
최근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바이든 행정부가 첨단 기술 문제에서도 주요 동맹국들과 연합을 형성할 것”이라고 짚었다. ‘내 편, 남 편을 가르는’ 줄 세우기를 통해 글로벌 서플라이체인에서 중국을 배제시키는 전략을 구사할 것이라는 얘기다. 이미 중국 파운드리 SMIC는 네덜란드 ASML로부터 극자외선(EUV) 노광 장비를 수입하지 못하고 있고 화웨이는 첨단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를 대만의 TSMC에서 만들지 못하는 상태다. 반도체 업계의 한 임원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반도체 장비·부품 등에 미국의 원천 기술이 녹아 있다는 이유로 다른 나라 기업이 미국 제품을 사용할 경우 예외 없이 미국 규제를 적용받게끔 조치했다”며 “바이든 차기 정부도 안보 및 기술 보안을 이유로 이런 기조를 유지해나갈 게 틀림없다”고 봤다.
바이든 정부는 자국 반도체 산업 육성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미 의회는 자국에 반도체 공장을 짓는 기업에 250억 달러(약 28조 원)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반도체진흥법을 만드는 데 합의했다. 여기에는 미국이 엔비디아·퀄컴 등 팹리스(반도체 설계) 위주라 유사시 제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판단이 녹아 있다. 미국 정부가 애리조나주에 5나노 공장을 짓도록 TSMC를 압박해 결국 이를 관철시킨 것도 같은 맥락이다. 최근에는 중국 기업의 자금줄을 옥죄기 위해 차이나모바일·차이나텔레콤·차이나유니콤 등 중국 3대 통신사를 뉴욕증시에서 퇴출시키기도 했다. 폴 트리올로 유라시아그룹 기술정책 분석가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바이든 팀은 AI와 양자 컴퓨팅 등 미래 기술 통제에도 공을 들일 것”이라며 “상대적으로 더 적은 기술에 통제를 가하되 보호해야 할 기술에는 더 높은 벽을 쌓는 방식을 선호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중국의 대응도 만만치 않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차세대 기술의 세계 표준을 정립하기 위한 중기 전략인 ‘중국 표준 2035’의 초안을 마련했다. 특히 오는 2025년까지 5세대(5G) 망·데이터센터 등 신(新)인프라 건설에 1조 2,000억 위안(약 205조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안기현 반도체산업협회 상무는 “중국 정부가 앞으로 엔비디아의 ARM 인수에 반대하는 등 양국 간 갈등이 어떤 식으로든 삐져나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기혁·이상훈기자 coldmetal@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