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년 원내대표가 문재인 정부 이후 빈곤층이 증가했다는 일부 언론보도를 정면 부인했다.
김 원내대표는 29일 원내대책회의에서 “차상위층 대상자가 늘어난 건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일관되게 노력한 결과”라며 “이를 빈곤층이 늘었다고 해석하는 건 악의적인 통계왜곡”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2011년 기준 비수급 빈곤층은 93만 명에 달했다. 문재인 정부가 주거급여 부양의무자 기준을 폐지하면서 새롭게 기초수급자가 된 사람이 71만 명에 달한다”며 “이런 사실을 무시하고 빈곤층이 증가했다고 보도하는 건 곡학아세”라고 성토했다.
김 원내대표는 유승민 국민의힘 전 의원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경제전문가로 불리는) 한 정치인은 빈곤층 양극화가 심화됐다고 주장했다. 그 분은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를 대선 공약으로 내세웠고, 이 제도 때문에 혜택 못 받는 빈곤층만 100만 명이라고 말한 바 있다”면서 “본인이 말했던 방향대로 제도개선이 돼 복지수혜자 증가한 것을 놓고 빈곤층이 늘었다고 비난하는 정략적 행태라 매우 유감”이라고 했다. 김 원내대표는 지니계수 등 각종 통계지표에서 상대적 빈곤이 모두 개선되고 있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전날 유 전 의원은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K방역 홍보는 그만 두고, K양극화를 해결할 때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고 “문재인 정부 들어 빈곤층이 급격히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박근혜 정부 4년2개월 동안 빈곤층은 198만명에서 216만명으로 18만명 늘어났는데, 문재인 정부 3년6개월 동안 빈곤층은 216만명에서 272만명으로 무려 56만명이나 늘어났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김 원내대표는 “대선 출마까지 한 정치인이 평론하려면 객관성이 있어야 하고 평론을 하려면 대안을 미래지향적인 대안도 확보해야 한다”며 “반짝 관심을 받을 지 몰라도 지지는 못 받는다”고 충고했다.
/박진용기자 yongs@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