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대기오염 물질 등 미세먼지 배출을 줄이기 위해 충전 인프라 등을 갖추지 않고 전기버스 도입을 추진해 공염불 논란이 일고 있다.
전기버스 대당가격이 4억~4억5,000만원으로 환경부 보조금 1억원과 국토교통부·인천시의 저상버스 보조금 1억 등 총 2억원에 가까운 보조금을 지원받으면 웬만한 경유버스 가격으로 살 수 있다. 그러나 충전소 등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버스업계는 전기버스 도입을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29일 인천시에 따르면 민선 7기 박남춘 시장의 공약에 따라 오는 2022년까지 150대의 전기버스를 시내버스 노선에 투입할 계획이다.
인천시는 올해 25대를 시작으로 매년 30~55대씩 도입하는 방안을 짜고 있다. 시의 계획과 달리 업계 반응은 냉담하다. 버스업계는 “전기버스 구매는 정부 보조금 등을 보태면 큰 부담 없이 구입할 수 있지만, 충전 인프라 구축 문제는 업체 자체로 구축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 도입하기가 힘들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충전소 인프라는 넓은 면적의 자체 차고지 마련이 필요하고, 충전 차량과 대기 차량을 위한 공간을 새로 확보해야 하는데 자체 차고지 조차 없어 임대해 사용하는 열악한 버스 업계 형편상 쉽지 않다는 것이다. 충전기 설치비는 3기에 4억원이 넘는 고가로 이 비용도 업계로서는 부담이다. 또 다른업계 관계자는 “경유나 CNG(압축천연가스) 버스는 연료를 주입하는 방식이라서 충전 시간이 10분 내외면 충분하지만, 전기 버스는 최소 1시간 이상이 걸려 넓은 면적의 차고지 마련이 필수적인데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고 토로했다.
게다가 인천시가 시내버스준공영제를 시행하고 있어 각 업체가 전기버스를 도입하려면 기존의 차량을 폐차하거나 매각을 해 보유 대수를 유지해야 하는 부담을 만만치 않다. 멀쩡한 차량을 팔거나 매각해야 한다는 얘기다. 한 버스업체 관계자는 “전기버스를 도입하고 기존의 버스 일부를 예비차로 보유할 계획을 세웠으나 인천시는 전부 매각하라는 입장이어서 도입을 망설이고 있다”고 귀뜸했다. 인천시 관계자 역시 “1곳도 아니고 여러 업체를 지원해야 해 인프라 구축도 형평성 문제 때문에 시 자체적 지원에 한계가 있는 게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