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이 윤석열 검찰총장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대비해 4일 검찰 출신의 김진태 의원을 법제사법위원회로 사보임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소속의 이철희 의원을 법사위로 배치하는 맞수를 두며 청문회는 뜨거운 공방을 예고하고 있다.
여야에 따르면 이날 김 의원과 이 의원을 비롯한 6명의 의원이 상임위원회를 옮겼다. 한국당에서는 법사위 소속의 정갑윤 의원이 정무위원회 소속 김 의원과 자리를 맞바꿨다. 민주당은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이 의원이 법제사법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이원욱 의원이 과방위, 국토교통위원회 김영진 의원이 기재위, 법사위 조응천 의원이 국토위로 이동하는 4각 사보임을 단행했다.
특히 한국당은 검찰 출신의 김 의원을 법사위에 복귀시키며 윤 후보자 청문회를 단단히 준비하는 모양새다. 19·20대 국회 법사위에서 활동한 이력이 있는 김 의원은 한국당 내에서도 ‘공격수’로 꼽힌다. 김 의원은 이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윤석열은 내가 잘 안다. 적폐수사 공로로 그 자리에 올랐지만 본인 스스로가 적폐의 장본인”이라며 “청문회 날이 기다려진다”고 밝혔다.
한국당은 청문회에 맞춰 ‘공안통’ 정점식 의원 역시 법사위에 투입하고자 했으나 이완영 전 의원의 의원직 상실이라는 변수로 보임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여당은 의원직 상실로 한국당의 의석수가 줄어든 만큼 국회 관례에 따라 이 전 의원의 자리가 어느 당 몫인지 여야 교섭단체 3당이 따져야 한다는 입장을 내세우고 있다. 민주당은 한국당이 정 의원을 법사위로 보임할 경우 사법개혁특별위원회 1석을 비교섭단체에 주는 협상안을 제안했으나 한국당은 “보임은 규칙의 문제이지 협상의 대상이 아니다”라며 반발했다.
민주당은 ‘정개특위’ 소속 이 의원을 법사위에 배치하며 청문회와 국회선진화법 위반 문제에 함께 대응할 것으로 전망된다. 당내에서도 달변가로 손꼽히는 이 의원을 윤 후보자 청문회 방어 카드로 꺼내 든 것이다. 아울러 여야 다수 의원이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 당시 국회선진화법 위반으로 고발된 상태인 만큼 이에 대응하기 위한 보임으로도 풀이된다.
/김인엽기자 insid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