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노조가 통합 논의에 나선 배경은 정년연장 이슈에 대한 공동대응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전기차 등 미래차 시장 확대로 인한 일자리 감소 위협에 맞서기 위해 통합 카드를 꺼내 들었다는 것이다. 판매감소와 실적악화로 위기감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현대·기아차는 물론 자동차 업계는 두 노조의 통합 논의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 가뜩이나 노조 리스크에 짓눌려온 국내 자동차 산업에 두 노조 간 통합은 또 하나의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경영환경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한발 삐끗하면 되돌릴 수 없는 나락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걱정이 큰데 두 노조의 통합은 경영 불확실성을 증폭시킬 수 있다.
내연기관차 중심에서 전기차 등 친환경차 위주로 전환되는 격변기를 맞아 글로벌 자동차 업계는 생존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이는 노사가 함께 머리를 맞대도 힘든 일이다. 이런 때 노조는 회사의 생사는 아랑곳하지 않고 오로지 자신들의 정치력 강화를 위해 회사를 압박하는 모습이라 걱정이 앞선다.
세계 자동차 업계는 갈수록 경쟁이 심해지는 미래차 시장에서 주도권을 잃지 않으려 뼈를 깎는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다. 노사가 합심하지 않으면 공멸한다는 글로벌 시장의 냉혹한 현실을 외면한다면 결과는 불 보듯 뻔하다. 르노삼성 노조원들이 집행부의 전면파업 지시를 거부하고 자발적으로 생산에 참여한 것은 이 같은 절박함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현대·기아차 노조도 무리한 요구를 내세운 투쟁보다는 생존을 위한 경쟁력 강화에 나서야 할 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