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박(비박근혜)계 후보로 거론돼온 강석호 의원이 29일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경선이 사실상 나경원(4선) 의원과 김학용(3선) 의원의 양강 구도로 압축되는 형국이다.
강 의원은 이날 입장문에서 “원내대표 경선 불출마를 선언한다”며 “김학용 의원과 보수 대통합·대여투쟁·품격정치라는 대명제를 놓고 정견과 지혜를 모아본 결과, 현시점에서 저보다 김 의원이 더욱 잘해낼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선배로서 후배에게 양보하는 모습으로 대한민국 보수를 재건하기 위한 더 큰 가치, 포용력을 실천하겠다”며 “변함없이 저의 자리에서 한국당 결속과 보수 대통합을 위해 앞장서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강 의원의 불출마 선언으로 후보 단일화의 물꼬가 터지면서 다른 후보들의 단일화 여부 또한 이번 원내대표 경선의 변수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현재 친박(친박근혜)계나 잔류파, 중도파 중에서는 나경원·유기준(4선)·유재중(3선) 의원 등이 출마 의사를 밝힌 상태다. 일각에서는 그동안 중립 성향을 보여온 나 의원이 친박계까지 지지세를 확대하면서 가장 유리한 고지를 점령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다만 친박계 일각에서 친박·잔류파의 후보 단일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일단 유기준 의원은 나 의원과의 후보 단일화에 선을 그으며 강한 완주 의지를 보이고 있다. 복당파에 속하는 김영우 의원 역시 김학용·강석호 의원의 후보 단일화와 상관없이 경선 출마 의지를 다지고 있다.
한편 한국당 내에서는 경선 일자와 관련해서도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김성태 현 원내대표의 임기는 다음 달 11일까지로, 임기 만료 이전에 새 원내대표를 선출해야 하지만, 예산안 심사 일정 등이 늦춰지고 있어 경선 일자를 늦춰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그러나 당헌·당규에 따라 정해진 일정대로 경선해야 한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권혁준인턴기자 hj7790@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