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혈모세포 이식은 급성 백혈병이나 희귀질환을 앓는 환자들에게 필수적인 치료방법이다. 하지만 환자와 조직적합성 항원이 일치하는 공여자를 찾기가 쉽지 않아 이식을 받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 조직적합성 항원이란 면역반응에서 같은 종류로 인식되는 세포 표면의 항원으로 이식의 성패를 좌우한다. 이식 조직의 공급자와 수용자 간에 이 항원이 다르면 수용자의 림프계 세포가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30일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소아청소년과 강형진·홍경택 교수팀은 이런 연구결과를 ‘미국골수이식학회지’(Biology of Blood and Marrow Transplantation)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개인별 적정 용량의 항암제 부설판(busulfan)과 이식 후 면역억제제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를 투여하면 조직적합성 항원이 절반만 일치해도 성공적인 조혈모세포 이식이 가능하다는 게 골자다.
강 교수팀이 지난 2014년부터 총 34명의 환자에게 조직적합성 항원 ‘반(半)일치 이식’을 했더니 85%의 생존율을 보였다. 백혈병 등 악성 질환자의 생존율은 82%, 비악성 희귀질환자의 생존율은 91%였다. 국제이식등록기관에서 발표한 소아청소년 급성 백혈병의 조혈모세포 이식(혈연·비혈연 포함) 후 생존율이 중증도에 따라 40~73%라는 점을 감안하면 매우 우수한 성적이다.
연구팀은 부설판의 혈중농도를 면밀히 확인하면서 환자 상태에 따라 맞춤형 용량을 투여하는 방법을 고안해 반일치 조혈모세포 이식에 접목했다. 부설판은 조혈모세포 이식에서 많이 쓰이지만 치료 효과를 내는 용량의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다. 용량이 높으면 독성 위험이 커지고, 용량이 낮으면 재발하거나 조혈모세포 이식 실패 가능성이 높다.
합병증인 이식편대숙주병 발생률은 급성 5.9%, 광범위 만성 9.1%로 기존 ‘전부일치 이식’에서의 발생률(각 5~15%, 15~25%)과 비슷하거나 양호했다. 이식편대숙주병은 투여된 림프구가 면역 기능이 저하된 숙주(수혈 받은 사람의 신체)를 공격해 발열, 발진, 간 기능이상, 설사, 범혈구감소증(백혈구·적혈구·혈소판이 모두 감소) 등이 나타난다. 급성·만성 두 종류가 있으며 골수이식 후 이 병이 발생할 경우 매우 치명적이다.
강형진 교수는 “반일치 이식의 성공으로 대부분의 환자가 공여자 걱정 없이 조혈모세포를 이식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조직적합성 항원이 일치할 확률은 형제라도 25%에 불과하다. 조혈모세포은행을 통해 공여자를 찾더라도 조직접합성 항원이 정확히 일치하기는 힘들다. 제대혈(탯줄혈액)을 이식하기도 하지만 골수 생착이 늦고 감염 등 합병증이 많아 어려움이 있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