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들·딸들의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통스럽더라도 3개 산을 함께 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은 2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이임식에서 “우리나라는 이미 잠재성장률 2%대라는 저성장 시대에 들어선 만큼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고용탄성치(1% 성장 시 일자리 증가율)를 높이는 수 밖에 없다”며 “이를 위해서는 반드시 3개의 산을 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첫 번째 산은 통상임금·최저임금·임금체계 등 임금을 둘러싼 갈등과 근로시간·근로계약관계와 관련된 불확실성”이라며 “최대한 빨리 근로기준법 등이 국회에서 처리되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직원들에게 당부했다. 아울러 “지나친 연공서열식 임금체계를 개선하는 노력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며 “그래야 기업들이 정규직을 직접 채용하는 선순환형 고용생태계가 만들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두 번째 산으로는 집단적 노사관계 시스템, 세 번째 산으로는 4차 산업혁명을 꼽았다. 그는 “대기업·공기업 노사가 함께 자신들의 권익을 조금씩 양보하면서 2·3차 협력업체 근로자의 고용구조 개선, 근로조건 향상, 생명·안전 확보를 위해 더 노력해 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4차 산업혁명이 이뤄지면 근로계약관계는 물론 일하는 방식, 일하는 장소 등이 다양화되고 직장 이동성이 커질 수 밖에 없다”며 “이를 지원하는 고용서비스와 사회 안전망 확충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일자리’라는 논밭이 타들어 갈 때 급한 대로 양수기로 물을 대어 줄 필요도 있다”면서도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마르지 않도록 수로를 구축해 주는 일을 지속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 “3개의 산을 노사정이 머리를 맞대고 넘는 것이 그 수로를 만드는 길”이라고 말했다.
이기권 장관은 2014년 7월 16일 취임했다. 그는 고용부 장관으로는 역대 가장 긴 재임기간을 보냈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