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는 17일(현지시간)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한반도 배치는 이미 한·미 양국이 정한 수순대로 진행되고 있고 북한의 확실한 비핵화 행동 없이는 북한과 어떠한 형태의 대화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국무부의 수전 손턴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대행은 이날 국무부에서 가진 전화 간담회에서 “모든 부품이 정렬되려면 시간이 걸리지만, (사드 배치는) 어떠한 변화를 겪고 있지는 않다”고 말했다. 그는 “사드 배치는 궤도에 올라섰고, 진전에 대한 의문점은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오는 25일 북한이 인민군 창건 85주년 기념일을 맞아 6차 핵실험을 할 가능성이 고조되는 것에도 경고의 메시지를 보냈다. 손턴 대행은 “만약 북한이 6차 핵실험을 하면 매우 중대한 국제적인 대응을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불법적인 프로그램에 관용은 없다”, “중국 또한 한반도 비핵화에 전념하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며 압박의 수위를 높였다.
그는 트럼프 정부의 새로운 양대 대북 원칙인 ‘최대의 압박’과 대화 가능성을 열어둔 ‘관여’(engagement)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손턴 대행은 “미국의 우선순위는 북한 정권에 압박을 가해 위협적인 행동을 중단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분명히 한 후 “만약 북한이 도발적인 행동을 계속하는 한 ‘관여’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그러면서 북한이 비핵화에 대한 확실한 행동을 보여주지 않는다면 북한과 어떠한 형태의 대화도 할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미·중 정상회담 이후 나타나고 있는 중국의 대북 압박과 관련해 “중국은 (한반도 비핵화) 목적을 향해 일하고 있다는 분명한 신호를 보였고, 우리는 중국에게서 많은 긍정적인 신호를 받았다”고 평가했다. 그는 “다만 거기(목표 달성)에는 시간이 걸릴 것이고 우리는 중국이 무엇을 하는지 지켜볼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의 지난 주말 탄도미사일 발사 실험 실패에 대해서는 “초기에 실패했기 때문에 북한이 무엇을 하고자 한 것인지 알기가 어렵다”며 “장거리 미사일은 아닌 것 같고, 금지된 기술을 이용한 중거리 미사일인 것 같다”고 분석했다.
/박신영인턴기자 sypar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