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은 대통령 탄핵의 위기를 오히려 범보수 진영을 하나로 규합할 수 있는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겠다는 방안을 세우고 있다. 대통령 탄핵을 외친 촛불민심에 밀려 지금은 보수진영이 열세에 놓여 있지만 막상 대통령 탄핵이 결정될 경우 대선을 앞두고 위기감을 느낀 보수 지지층이 똘똘 뭉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탄핵이 인용되면 전체 유권자의 30% 안팎을 차지하는 보수성향의 유권자들이 하나로 결집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특히 보수층의 선명성이 더욱 뚜렷해지면서 중간지대보다는 전통적 보수세력으로의 쏠림 현상이 가속화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자유한국당이 특검 연장을 거부한 황 대행에 대해 야당이 탄핵을 추진하자 적극 엄호에 나선 것 역시 여권의 잠재적 대권 주자가 입을 정치적 피해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보수 지지층의 결집을 강화하겠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
다만 탄핵 이후 한국당의 추가 분열 가능성에 대해서는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바른정당 지도부는 연일 한국당 내 비박계 의원들의 결단(탈당)을 촉구하고 있지만 이들이 대선을 앞두고 아직 유력 대권후보가 없는 바른정당으로 둥지를 옮길지는 미지수다.
/김현상기자 kim0123@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