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미국·일본 등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회의에 시장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일단 미국 대선이라는 메가톤급 변수를 의식한 중앙은행들이 일제히 숨 고르기에 들어가면서 11월 금리결정회의는 예고된 ‘공포탄’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미국에서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12월 금리 인상이 기정사실화돼 있고 9월 회의에서 새로운 정책 틀을 제시한 일본 중앙은행(BOJ) 역시 추가 조치에 나설 가능성은 희박한 실정이다. 시장은 당장 이달의 정책 변화를 기대하기보다 12월 이후에 대한 단서를 찾는 데 촉각을 곤두세울 것으로 보인다.
30일(현지시간) CNBC 등 외신들은 3·4분기 미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예상치를 크게 웃도는 등 연준의 금리 인상 여건이 무르익었지만 대선 직전인 1~2일에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예상했다. TD증권의 브리타니 바우만 이코노미스트는 “9월 FOMC 이후 발표된 경제지표들은 연준 목표치를 향해 가고 있음을 확인시켜줬지만 대선 일정이 연준의 손을 묶어둘 것”이라고 예상했다. CME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시장에서 보는 연준의 11월 금리 인상 가능성은 8%에 그치는 반면 12월 가능성은 72%에 달한다.
이 때문에 시장의 관심은 11월 회의 결과보다 연준이 12월 금리 인상 기대를 뒷받침할 뚜렷한 단서를 제공할지 여부에 집중되고 있다. 지난해 10월 FOMC에서 금리 동결 결정과 함께 매파적 성명 내용으로 6주 뒤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내비쳤던 연준이 이번에도 성명을 통해 12월 금리 인상을 시사하는 힌트를 줄지가 관건이다.
연준은 지난해 12월 7년 만의 금리 인상에 앞서 10월29일 FOMC 후 성명을 통해 “다음 회의에서 (금리) 목표 범위를 높이는 것이 적절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고용 극대화와 물가상승률 2% 목표를 향한 진척 상황을 평가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31일부터 이틀간의 금융정책결정회의에 돌입한 BOJ 역시 11월1일 회의에서 기존의 통화정책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경제산업성이 31일 발표한 9월 산업생산이 제자리걸음에 그치고 소매판매도 전년동월 대비 1.9% 감소하는 등 지표 부진이 이어지고 있지만 BOJ 통화정책의 틀을 바꾼 직전 회의 이후 경기에 큰 변화가 없는 상황에서 추가 완화정책에 대한 기대감은 거의 없다.
다만 이번 회의에서 BOJ는 물가상승률 2% 달성시기 목표를 2017회계연도(2017년 4월~2018년 3월)에서 2018년도로 또다시 늦출 가능성이 높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전했다. 이 경우 2018년 3월이 만기인 구로다 하루히코 BOJ 총재의 임기 중 물가목표 달성은 사실상 물 건너가게 된다.
이 밖에 1일 필립 로 총재 취임 이후 첫 통화정책회의를 여는 호주중앙은행(RBA)과 3일 금리 결정을 내리는 영국 중앙은행(BOE) 역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미즈호증권의 비시누 바라탄 이코노미스트는 CNBC에 “이번주에는 이벤트가 가득하지만 결과는 없는 공포탄에 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경립기자 klsi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