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환경보건센터(안강모·김지현 소아청소년과 교수) 연구팀은 깨끗한 공기와 폼알데히드가 포함된 공기를 아토피피부염 환자 41명과 대조군 34명에게 각각 노출 시킨 결과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28일 밝혔다.
연구팀은 안전성평가연구소 흡입독성연구센터와 공동 개발한 ‘환경유발검사 시스템’을 이용, 실험대상자의 피부에 폼알데히드와 깨끗한 공기를 노출시켜 반응 정도를 살폈다. 그 결과 폼알데히드를 포함한 공기에 노출됐을 때 아토피피부염 환자와 대조군 모두 ‘경피수분손실도’가 매우 높아졌다. 경피수분손실도란 피부를 통해 수분이 손실되는 양으로, 수분 손실이 많아지면 피부가 건조해져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가려움증이 더욱 심해질 수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폼알데히드에 노출된 시간에 따라 수분손실도가 점차 증가해 대조군은 1시간 노출시 4.4%, 2시간 노출시 11.2%로 나타났다.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경우 대조군보다 2배 가량 수분이 더 빠져나갔다. 이들 환자의 경우 1시간, 2시간 노출 시 각각 수분손실도가 10.4%, 21.3%으로 측정됐다.
이번 연구로 앞으로 아토피피부염을 진단·치료하는 데 변화가 예상된다는 게 연구팀 측 설명이다. 기존에는 집 또는 주변 환경에서 얻은 공기에서 유해물질의 구성비나 농도 등을 토대로 간접 분석하는 방식이 주를 이뤘지만, 이제 어떤 물질이 환자에게 악영향을 미치는지 직접 분석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폼알데히드에 특별히 민감한 환자라고 했을 때 주요 발생원인 새 가구, 접착제, 페인트 등 사용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권고할 수 있고, 실내공기 중 폼알데히드 농도를 반드시 점검하도록 조치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안강모 교수는 “앞으로 같은 원리를 이용해 톨루엔, 미세먼지, 이산화질소,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등으로 검사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민정기자 jeong@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