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의 민감한 질병정보를 다루는 대형병원의 정보 보호가 미흡해 해킹이나 실수 등으로 환자 정보가 외부로 유출될 위험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행정자치부는 지난달 14∼27일 개인정보를 다량 보유한 종합병원 20곳의 개인정보 관리실태를 보건복지부·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합동으로 현장점검한 결과 17곳에서 법령 위반사항 37건을 적발했다고 21일 밝혔다.
평소 병원 누리집 온라인 점검에서 개인정보 관리가 미흡하다고 의심된 병원 중 개인정보를 다량 보유한 20곳이 현장점검 대상이었다. 현장 점검을 받은 종합병원의 85%에 해당하는 17곳이 적발됐다. 적발건수는 1곳당 평균 2.2건이었다.
주요 위반 내용은 △ 개인정보 암호화 미이행 등 안전조처의무 위반(15곳) △개인정보처리 위·수탁계약 관련 규정 위반(6곳) △ 개인정보처리방침 공개 누락(4곳) 등이다.
/한영일기자 hanul@sed.co.kr
행정자치부는 지난달 14∼27일 개인정보를 다량 보유한 종합병원 20곳의 개인정보 관리실태를 보건복지부·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합동으로 현장점검한 결과 17곳에서 법령 위반사항 37건을 적발했다고 21일 밝혔다.
평소 병원 누리집 온라인 점검에서 개인정보 관리가 미흡하다고 의심된 병원 중 개인정보를 다량 보유한 20곳이 현장점검 대상이었다. 현장 점검을 받은 종합병원의 85%에 해당하는 17곳이 적발됐다. 적발건수는 1곳당 평균 2.2건이었다.
주요 위반 내용은 △ 개인정보 암호화 미이행 등 안전조처의무 위반(15곳) △개인정보처리 위·수탁계약 관련 규정 위반(6곳) △ 개인정보처리방침 공개 누락(4곳) 등이다.
/한영일기자 hanul@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