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82.01포인트(1.78%) 상승한 1만6,167.23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6.55포인트(1.41%) 오른 1,903.63에, 나스닥 종합지수는 49.18포인트(1.09%) 높은 4,567.67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상승 출발한 지수는 장중 상승 폭을 확대했다. 유가가 3%에 달하는 강세 흐름을 나타낸 데다 3M 등 일부 기업들의 실적 호조에 따른 주가 급등이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3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배럴당 1.11달러(3.7%) 높아진 31.45달러에 마쳤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비OPEC 산유국들의 감산 합의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왔기 때문이다.
아델 압둘 마흐디 이라크 석유장관은 이날 쿠웨이트에서 열린 한 콘퍼런스에서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등이 감산에 더 유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러시아 유전개발 업체 루크오일의 부회장도 러시아는 OPEC와 공급 우위를 해소할 방안에 협력할 수 있다고 러시아 관영 타스통신과 인터뷰에서 말했다.
다우지수 구성 종목인 3M 주가는 지난해 4ㆍ4분기 특별 항목을 제외한 주당 순익이 1.80달러로 팩트셋 조사치 1.63달러를 넘어서며 약 5% 강세를 나타냈다. 다국적 제약업체이자 소비자생산업체인 존슨앤존슨(J&J)은 4분기 특별 항목 제외 주당 순익이 1.44달러로 시장 예상치 1.42달러를 웃돌아 주가가 4% 넘게 올랐다. 프록터앤갬블(P&G) 주가도 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을 웃돌아 2% 이상 상승했다.
업종별로는 에너지업종이 3% 이상 강세를 보이며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외에도 금융업종과 산업업종, 소재업종이 2% 가까운 상승세를 보이는 등 전 업종이 일제히 올랐다. 이번 주는 27일 페이스북, 28일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캐터필러, 29일 셰브론 등의 주요 기업 실적 발표가 대기해 있다. 이날 장 마감 이후에는 애플이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날 발표된 경제 지표도 호조세를 보였다. 콘퍼런스보드는 1월 소비자신뢰지수가 전월 수정치 96.3보다 상승한 98.1을 보였다고 발표했다. 이는 마켓워치 조사치 96.2를 웃돈 것으로 지난해 10월 이후 최고치다. 지난해 11월 미국의 주택가격은 상승세를 지속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케이스-실러에 따르면 11월 전미 주택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5.3% 상승했다. 10월에는 5.1% 올랐다.
11월 10대 대도시 주택가격은 전년 대비 5.3% 높아졌다. 20대 대도시 역시 전년 대비 5.8% 상승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1월 20대 도시 주택가격이 5.6% 올랐을 것으로 예측했다. /뉴욕=최형욱특파원 choihuk@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