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원 김홍도가 금강산 일대를 유람하며 그린 화첩을 본 뜬 그림에 시문(詩文)을 붙인 19세기 '와유첩(臥遊帖)'이 최초로 공개돼 경매에 나왔다. 미술품경매사인 옥션단은 26일 오후 수송동 전시장에서 '와유첩'과 정조의 친필편지를 비롯해 고서화와 근ㆍ현대 서화, 도자기, 서양화 등 201점을 경매에 부친다고 16일 밝혔다 누워서도 유람하듯 그림을 보며 즐긴다는 의미의 이 와유첩의 근원은 정조임금에게서 비롯됐다. 금강산을 꼭 보고 싶다는 정조의 특명으로 김홍도는 금강산 명승지를 사생해 1788년에 70폭 '금강사군첩(金剛四郡帖)'을 그렸다. 한편 전라도 관찰사를 지낸 오헌 김계온(1773~1823)은 1816년 봄에 50일동안 2,400리에 이르는 금강산 유람을 다녀온 뒤, 정조를 모실 때 봤던 김홍도의 '금강사군첩'을 기억하고 화원에게 부탁해 이모(移模ㆍ본떠 그림)했다. 그림 옆에 직접 시은 161수의 시문을 첨부해 '와유첩'이라 명명했다. 총 9권에 그림은 75폭이며 여행지에 대한 설명이 달렸다. 화첩을 빌려봤던 당대 문인들의 감상 시문도 수록됐다. 원본인 김홍도의 화첩은 일부만 전해진다. 하지만 김계온의 이 화첩은 온전히 보존됐기에 ▦단원이 제작한 원본을 추정할 수 있으며 ▦당시 문인들의 교류관계 ▦상세한 금강산 여정을 엿볼 수 있는 문화사적 가치를 지닌다. 김영복 옥션단 대표는 "와유첩의 발문을 쓴 김병성의 증손자인 사군자 화가 김진우 가(家)의 소장본으로 추정한다"라며 "연대가 확실하고 글과 그림이 완벽하게 남아있는 작품으로 그동안 공개된 적 없었다"고 설명했다. 경매 시작가는 15억원이다. 이와 함께 정조대왕이 1790년경 부터 1797년 무렵까지 고종사촌인 김이주 집안에 보냈던 친필편지 40통도 시작가 3억3,000만원에 경매된다. 정조가 추사 김정희의 양아버지이기도 했던 김노영과 그의 아버지 김이주에게 보낸 어찰로, 일상적인 내용이 대부분이다. 이중섭이 죽기 직전인 1955년 그린 유화 '돌아오지 않는 강'은 추정가 3억~6억원에 출품됐다. 1971년 현대화랑에서 이중섭의 친구인 화가 한묵의 소장품으로 전시된 적 있다. 또 일본의 근대화가 우메하라 류자부로(梅原龍三郞)가 조선의 진사포도문백자에 꽂혀 있는 장미를 그린 '조선백자에 핀 장미'(추정가 2억원)와 20세기초 추상화가 이규상의 유화 '구성'(추정가 3억원)도 출품됐다. 옥션단은 인사동에서 통문관을 거쳐 문우서림을 운영하며 KBS프로그램 '진품명품' 감정위원으로도 활동하는 김영복씨가 설립한 신생 경매회사로 이번이 첫 경매다. 출품작은 19~25일 수송동 전시장에서 미리 볼 수 있다. (02)730-5408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