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정치쇄신분과위원장을 맡고 있는 이상돈 비상대책위원은 10일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80% 비중인 당내 경선 방식은 당원 투표와 일반 유권자 투표를 함께 진행하는 방식이 될 것"이라며 "완전개방형(오프 프라이머리)은 배제됐다고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당초 비대위가 정한 공천 기준으로 알려진 '총선 후보자의 80% 오픈 프라이머리, 20% 전략 공천'을 부인한 것이다.
이 위원은 이어 "(80% 비중의 당내 경선에서는) 당원 투표에 가중치를 둘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동안 오픈 프라이머리에 대한 논의가 꾸준히 이어온 것과 달리 한나라당에서 이를 도입하지 않기로 한 것은 책임당원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는 의견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은 전일 비대위 회의에서 "한나라당을 지켜오고 헌신해온 책임 당원께 나름의 권리를 주는 것을 깊이 고민해봐야 한다"는 의견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비대위에서는 '당원 50%, 일반국민 50%'나 '2대3대3대2(대의원 20%, 일반당원 30%, 일반국민 30%, 여론조사 20%)' 등을 포함해 다양한 당원과 국민참여 비율이 논의됐다.
하지만 한나라당이 쇄신 과정에서 민심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오픈 프라이머리를 논의하다가 오히려 후퇴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특히 당원참여 비중이 커질수록 정치 신인보다는 현역 의원들이 유리해지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이와 관련해 당의 한 관계자는 "당원들에게 권리를 주는 것은 필요하지만 한나라당이 뼈를 깎는 쇄신 과정 중에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우려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